서석 청량리 운무산, 솔나리
분포가 제한적이라 좀처럼 만나기가 쉽지 않다

솔나리는 중북부 이북에서 자라는 다년생 구근식물이다. 잎이 솔잎처럼 생겼다고 하여 솔나리라고 하며, ‘솔잎나리’라고도 한다. 비슷한 종류로 흰색 꽃이 피는 흰솔나리와 검은빛이 도는 홍자색 꽃이 피는 검은솔나리가 있다.

나리를 구분하는 법은 꽃이 어디를 향하는지 보는 것이 가장 쉬운데, 하늘을 향하면 하늘나리, 땅을 향하면 땅나리, 중간쯤이면 중나리다. 말나리는 아래 잎이 마치 우산살처럼 둥그렇게 나 있다.



솔나리는 양지 혹은 반그늘의 물 빠짐이 좋은 곳에서 자라며, 키는 70㎝이다. 잎은 다닥다닥 달려 어긋나며 길이가 10~15㎝, 폭은 0.1~0.5㎝로 좁은 편이다. 가는 선 모양의 잎이 소나무 잎처럼 뾰족하게 달리며 올라간다.

7~8월에 짙은 홍자색 꽃이 핀다. 꽃의 안쪽에는 자주색 반점이 있으며, 꽃의 길이는 2.5~4.2㎝, 폭은 약 0.8㎝이다.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1~4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린다. 암술은 수술보다 길이가 길어 밖으로 나와 있다. 열매는 9~10월에 익고 편평하며 갈색이다.


백합과에 속하며 솔잎나리, 검솔잎나리라고도 한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비늘줄기는 식용으로 쓰인다. 꽃은 백합화(百合花), 종자는 백합자(百合子)라고 해서 약용으로도 쓰인다. 환경부에 의해 보호식물로 지정되었으며, 우리나라 강원도 이북 지방과 중국 동북부, 우수리 강 등지에 분포한다. 꽃말은 ‘새아씨’이다. [ 발췌 : 야생화백과사전]
관련기사
송시영 기자
ys8164-@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