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과 삶은 하나이며 이 성찰의 기록은 죽음과 함께 영원히 사라진다
묘비명은 한 사람의 치열했던 인생 기록이며, 또한 떠난 자와 남은 자들의 대화

 

묘비명(墓碑銘)은 죽은 사람을 기리는 짧은 문구다. 묘비(비석)에 새겨진 문구를 가리킨다. 일부 묘비명들은 사망 전에 자기 자신이 직접 쓰기도 하며, 그 외에는 매장을 책임지는 사람들에 의해 선택된다.

대부분의 묘비명은 가문, 경력, 죽은 이의 간략한 기록일 수 있다. 여기에는 종종 ‘경애하는 아버지’와 같은 사랑이나 존경의 표현이 들어간다. 저명인사의 묘비명은 가문의 기원, 경력, 선행에 대해 점차 장문의 글을 쓰는 경향도 있다.

죽음은 삶을 건강하게 하는 중요한 방부제 같은 것이다. 만약 영원히 산다면 인간들은 지금보다 더욱 오만해질 것이 분명하다. 사람이 죽으면 묘비명을 쓴다. 자신이 직접 썼든 누군가가 써주었든 묘비명에는 죽은 사람의 삶과 정신을 보여주는 경구가 새겨지기 마련이다.

지나간 인생을 반추하면서 ‘내가 죽은 후 내 묘비명은 어떻게 쓰여질까.’를 늘 염두에 두면서 인생을 사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일 듯싶다. 누구나 반드시 죽는다. 그러나 죽음은 끝이 아니다. 영원한 존재로의 과정으로서 삶의 일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미지 제공 - 박미애 사진가
이미지 제공 - 박미애 사진가

 

우리는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최근 들어 존엄사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존엄사란 최선의 의학적 치료를 다 했음에도 회복 불가능한 사망의 단계에 이르렀을 때,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품위와 가치를 지키며 죽을 수 있게 하는 행위이다. 즉 사전에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결정 의지다. 그래서 죽음은 일방적으로 당하는 것이 아니라 맞이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태어난 것을 자신이 선택할 수 없지만 죽음에 대해서는 자신의 책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장례를 애도하거나 피할 것이 아니라 삶의 과정으로 인식했으면 한다. 내가 태어났을 때 나 혼자 울고 주위 사람들 모두는 웃었고, 내가 죽을 때는 나 혼자 웃고 주위 사람들은 모두가 우는 삶을 살고자 노력한 자에게는 죽음은 승리이자 죽음으로부터의 진정한 해방인 것이다.

당신의 묘비명은 무엇으로 정할까? 오늘이 내 인생의 마지막 날이라면 어떤 말을 남길까? 묘비명은 죽은 이를 기리기 위해 생전의 업적과 관련된 내용을 비문에 새길 내용으로서, 곰곰이 사전에 작성해 보는 것도 현명한 일이다. 멀지 않은 훗날 지인이 성묘 갔다가 묘비명을 보게 될 것이다.

사례로 위인들의 묘비명과 유언을 보면 다음과 같다. 시대를 밝힌 ‘큰 별’ 김수환 추기경의 묘비에는 ‘주님은 나의 목자, 나는 아쉬울 것이 없어라.’라는 묘비명과 생전의 사목이었던 ‘너희와 모든 이를 위하여’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인간에 대한 한없는 애정이 삶의 이유였던 추기경의 모습을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하다. 남은 사람은 떠난 사람이 남긴 마지막 말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 속에서 무엇을 배울까? 역사 속 위인의 유언과 묘비명을 통해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삶을 ‘팍팍하다’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한 많은 민족 정서는 유언이나 묘비명에도 그대로 반영된다. 반면 서양의 묘비명은 예전부터 냉소적이고 재치 있는 형식을 갖추는 것이 일반화돼 있다.

모진 풍파를 겪은 사람일수록 그 재미는 더 하다. 100년 가까운 생을 살며 제1, 2차 세계대전을 모두 겪은 영국의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1856~1950)는 묘비에 ‘우물쭈물 살다 내 이럴 줄 알았지.’라는 엉뚱한 글귀를 새겼다. 글 쓰는 일을 평생 업으로 삼은 사람다운 기발한 재치가 엿보인다. 그러나 재치 있는 말에 마냥 웃을 수만은 없다. 그의 말대로 우물쭈물하다 기회를 그냥 놓치는 일이 허다하기 때문이다.

그는 인생을 허망하게 날리는 사람들에게 준비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싶었던 것이다. 『노인과 바다』로 유명한 소설가 어니스트 헤밍웨이(1899~1961)는 인간의 비극적 모습을 간결하게 표현하던 자신의 문체 그대로 ‘일어나지 못해 미안하오.’라는 묘비명을 남겼다.

우리나라에도 재치 있는 말을 남긴 사람이 있다. 걸레 ‘미치광이 중’을 자처하며 삶을 파격으로 일관했던 중광 스님의 묘비명은 ‘괜히 왔다 간다.’다. 권력이나 물질적 풍요를 누렸던 인생이든, 가난에 찌들었던 인생이든 모두 덧없는 것임을 명쾌하게 표현한 문장이다.

또한 피할 수 없는 운명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사람도 있다. 이들은 대부분 자신의 인생을 담담하게 정리하거나 이루지 못한 꿈에 대한 미련, 혹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유언을 남겼다.

공산주의의 창시자 칼 마르크스(1818~1983)는 그의 평생 동지였던 엥겔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유언이란 평소에 할 말이 없었던 사람이나 하는 것 같네.” 오늘날에도 여전히 동양인의 사고를 규정짓는 공자(BC 551~479)는 ‘지는 꽃잎처럼 현자는 그렇게 가는구나.’라는 유언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밖에도 ‘여기 한 무신론자가 누워있다. 옷은 차려입었는데 갈 곳이 없구나.’ ‘물로 이름을 쓴 한 남자가 여기 누워 있노라(존 키츠).’ 등 위트는 있되 그저 웃으며 지나칠 수 없는 의미를 내포한 묘비명도 있다.

묘비명은 한 사람의 치열했던 인생 기록이며, 또한 떠난 자와 남은 자들의 대화이다. 서양화가 박수근(1914~1965)은 ‘천당이 가까운 줄 알았는데 멀어, 멀어…’, 시인 조병화(1921~2003)는 ‘나는 어머님 심부름으로 이 세상에 나왔다가 이제 어머님 심부름 다 마치고 어머님께 돌아왔습니다.’라는 묘비명을 각각 남겼다.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했다. 사람이 죽고 나면 비록 육신은 사라지지만 살아생전 그 사람의 업적이나 행적을 묘비명을 통해 알 수 있다. 우리 풍습에는 추석 명절이나 기일에 후손들이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거나 산소를 직접 찾아 성묘한다.

묘비명은 세상을 살다가 이승에서 저승으로 가기 위해 하직하는 마지막 인사이다. 묘비에 이름을 새기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남기기도 한다. 한 사람의 인생을 압축해 설명하고, 어떻게 기억되고 싶은 마음과 바람이기도 하다.

묘비명은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유래했다고 한다. 짧은 경구나 이행시(二行詩)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며, 인생의 덧없음을 일깨우는 교훈적 문구가 담겨 있다.

우리의 옛 조상들이 지켜온 전통방식에도 사람이 죽으면 비석에 ‘學生ㅇㅇㅇ金氏 之墓’라고 쓰고 벼슬을 했으면 관직을 함께 썼다. 선비들은 죽음에 대처하는 한 방식으로 자신의 지난 행적을 돌아보는 글을 남기기도 했다.

죽기 전에 이른바 자찬(自撰) 묘비명이다. 이제 전통방식도 점점 사라지고 요즘에는 서양식으로 묘비명을 쓰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내 묘비명에 어떤 글이 남겨질지 생각하고 산다면 세상은 좀 더 살기 좋은 곳이 되지 않을까. 어쨌든 묘비명은 한 사람의 치열했던 인생 기록이며, 떠난 자와 남은 자들의 대화이다. 우리 모두 순수한 열정으로 당장 묘비명을 써 보는 것은 어떨까?

죽음과 삶은 나의 과거를 반추해 보며 내면 깊숙이 숨겨진 사랑 덩어리의 조각난 파편을 찾아 맞추는 웰다잉(Well-Dying) 퍼즐이다. 죽음과 삶은 하나이며 이 성찰의 기록은 죽음과 함께 영원히 사라진다. 오직 남은 것은 순백의 도화지일 뿐이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