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0월 19일 오픈
수소 생산량 2배 이상, 하루 충전 가능 대수 3배, 충전압력 2배로 확대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수소에너지 자체 생산과 공급이 원스톱(One-Stop)으로 이루어지는 수소차 충전소 ‘상암수소스테이션’을 오는 10월 19일(월)에 오픈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시민 불편을 해소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대하기 위해 ‘상암수소스테이션’의 충전 능력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성능개선공사를 작년 10월부터 실시해왔으며, 올 10월 공사와 시험운전을 마치고 정식 운영에 들어가게 되었다고 전했다.

 

서울 상암수소스테이션 전경 (자료제공 : 서울특별시)
서울 상암수소스테이션 전경 (자료제공 : 서울특별시)

 

‘상암수소스테이션’은 연구목적으로 월드컵경기장 인근에 지난 2011년 설치되었으며, 2018년 수소차 상용화에 따라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되었지만, 수소 생산량 한계와 충천압력 부족 등으로 충전소 이용에 불편이 있었다고 한다.

서울시는 이에 성능개선을 통해 1일당 수소 생산량을 2배 이상(75kg→160kg)으로 늘려 하루에 충전 가능한 대수가 3배(10여대→30여대)로 확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고 밝혔다.

또한, 충전압력도 350bar에서 700bar(수소차 넥쏘, 700bar)로 두 배 증가되었으며, 기존에 한 번 충전으로 절반만 충전되었던 것에 비해, 이제는 완전 충전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1회 충전으로 운행 가능 거리가 약 2.3배(300km→최대609km)로 늘어났으며, 이는 서울에서 대구까지 왕복할 수 있는 거리라고 한다.

‘상암수소스테이션’은 국산 기술로 개발된 수소추출기를 통해 수소생산과 충전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온사이트(On-Site)형’ 충전소라고 한다.

수소를 직접 생산하기 때문에 먼 거리에 있는 수소생산지에서 수소를 가져오지 않아도 되는 만큼 운송비가 절감되고, 공급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잇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또한, 공사 전에는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에서 수소를 분리·생산하는 방식이었다면, 이제는 도시가스에서 수소를 분리하는 방식까지 추가돼 상업용 최초로 두 가지 공급방식을 동시에 가동하게 되었다고 한다.

특히,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를 활용하는 방식은 도시가스만 사용하는 다른 개질식 수소충전소보다 친환경적이라고 한다.

이는 향후 친환경 수소 충전소를 선도하는데 중심이 될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으며, ‘상암수소스테이션’ 운영은 에너지 전문기관인 ‘서울에너지공사’가 맡는다고 밝혔다.

근무인력을 확충해 주말에도 운영하고, 충전 가능 시간도 오전 8시에서 오후 10까지(기존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로 확대해 수소차 이용자들의 충전소 이용 불편을 해소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1회 수소 충전 용량도 4kg으로 정해(1회 최대 6kg) 1일 충전량을 40대로 확대했다고 전했다.

이는 예약제로 운영되며,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어플리케이션 “SangAm H2”, 또는 홈페이지(www.상암수소충전소.com)를 통해 예약하면 된다고 하며, 올 연말까지 시민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고, 내년부터는 유료로 전환된다고 한다.

또한, 서울시는 자치구(마포구), 한국가스안전공사와 협조해 월 1회 이상 안전진단을 실시하는 등 안전에 최우선을 두고 운영해나갈 계획이라 전했으며, 상암수소스테이션 성능개선·재운영과 더불어 20일(화)부터 저공해차 구매보조금 지원시스템(www.ev.or.kr)을 통해 제2차 수소차 보조금 신청 접수를 받으며, 총 300대를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 조완석 기후변화대응과장은 “서울시 수소차 보급은 대기오염물질 배출 없는 친환경 자동차를 통해 그린뉴딜을 추진하고, 시민이 건강한 도시 구현,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정책이며, 이번 상암수소스테이션 성능 개선 공사 완료로 충전인프라가 확충되었다”고 전했다.

또한, “1일 충전 가능 대수, 1회 충전 가능 용량이 대폭 확대돼 시민들이 수소차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친환경 수소차 보급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관련 정책을 차질 없이 추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