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온실가스 감축․관리하는 ‘온실가스 총량제’ 실행모델 개발 참여
LG사이언스파크, 신한은행, 서강대, 삼성․아산병원, 한화커넥트 등 약100개소
공공건물 의무화 → 민간건물로 확대 적용...참여 인센티브 적극 발굴
건물 유형별 배출표준 마련…호텔․백화점․통신 비롯, 중․대형 건물 참여 기대
서울시는 건물 온실가스 적정 배출량을 정해 관리하는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실행모델 개발에 대기업․은행․병원․학교 등 약 100개소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는 서울 소재 약 59만동 건물을 용도에 따라 12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실제 온실가스 배출량(2017~2019년)을 분석해 유형별 배출 특성 등을 고려하여 표준배출량을 설정‧관리하는 제도다.
서울시는 ‘2050 온실가스 감축 추진계획’ 및 ‘서울비전 2030’의 일환으로 2020년부터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시행방안을 준비해 왔다.
또한, 서울시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68.7%를 차지하는 건물부문 온실가스를 감축하기 위해 지난 1월에 ‘저탄소 건물 100만호’를 조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올해는 연면적 1천㎡ 이상의 시 소유건물 447개소 전체와 에너지다소비건물 등 민간건물 300개소를 목표로 온실가스 총량제를 추진 중이다.
서울시는 총량제 참여 건물의 온실가스 배출현황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건물의 에너지성능을 진단하고, 최적의 감축방안을 제시하며, 건물에너지 효율화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 사업비를 최대 20억 원까지 무이자로 융자 지원해 준다.
서울시는 지난해부터 시 소유 건물(1,000㎡ 이상) 51개소에 온실가스 총량제를 시범적으로 적용해왔다.
올해는 이를 민간건물로 확산하기 위한 실행모델을 개발 중으로,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는 민간 중‧대형 건물의 자율적 참여를 요청한 바 있다.
이번 총량제 실행모델 개발에 참여하는 건물은 4개 기업 25개소, 2개 병원 15개소, 3개 대학교 약 58개소 등 약 100개소다.
참여기업은 △LG사이언스파크에 입주한 LG그룹 주요 계열사(LG전자 등), △한화커넥트(서울역사 및 청량리역사), △신한은행, 공기업인 △해양환경공단이며, 병원은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대학교는 △서강대학교,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다.
서울시는 참여 건물의 에너지사용량 등을 분석해 건물 유형별로 정한 표준배출량의 적정성을 검토하고 유형별로 적용가능한 감축기술의 표준모델을 제시하는 등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의 세부 실행지침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참여 건물에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온실가스 감축을 도울 계획이다.
서울시는 지금까지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 실행모델 개발에 참여한 건물 외에도 호텔‧백화점 등 중‧대형 에너지다소비건물의 참여 신청을 받고 있다.
참여를 희망하는 건물은 서울시 기후변화대응과(02-2133-3577)로 신청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