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 종료 후 폭염 지속에 따른 조류 발생 증가 추세

환경부(장관 조명래)8월 전국의 녹조 발생 현황(831일 기준) 분석한 결과, 5개 지점 대청호·영천호·사연호·덕동호‧칠서에서 조류경관심단계가 발령 중이라고 밝혔다.

이들 5개 지점은 816일 장마가 소멸한 직후부터 폭염이 계속되어 정체수역을 중심으로 녹조가 발생하여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울러 조류경보가 발령 중인 5개 지점 이외에도 강정고령, 물금매리, 진양호에서도 84주에는 1,000~2,000세포/ 수준으로 유해남조류가 출현했다

 

 

8월 4주 동안 조류경보제 운영지점 29녹조 현황을 분석한 결과, 장마 직후 영남지방을 중심으로 녹조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로 나타났다.

대청호는 7월부터 계속된 비로 호수에 부유물과 함께 영양염류가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 정체된 수표면에서 유해남조류가 증식하여 86일부터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된 상태다.

낙동강 호소 지점(덕동호·영천호·사연호)도 비로 인한 영양염류 유입과 폭염의 영향으로 녹조가 급격히 증가했다.

특히 영천호와 사연호(취수탑) 지점은 824일에는 경계 기준(10,000세포/ml)을 초과하는 수준의 많은 유해남조류가 발생하여 9 1주차 분결과에 따라 조류경보 경계단계가 발령될 가능성이 있.

덕동호는 2011, 사연호는 2016년 이후로 각각 조류경보가 발령된 적이 없었으나, 올해는 긴 장마와 늦은 폭염 등의 이상기후로 녹조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아울러 낙동강 강정고령, 물금매리, 진양호 지점은 84주차에 유해남조류가 전주보다 증가하며 조류경보 관심단계를 1회 초과했고, 91주차 분석 결과에 따라 조류경보 관심단계가 발령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