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레이더, 위성과 같은 첨단기술을 활용, 돌발홍수 등 대응
홍수위험지도를 제작·배포하여 과학적인 홍수대책 수립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난 78월 장마기간에 내린 집중호우와 이에 따른 피해를 근본적으로 줄이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첨단기술을 활용한 과학적 홍수관리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기후변화에 따른 집중호우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까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

홍수에 취약한 전국 100곳의 지방하천에 홍수정보 수집센서를 설치하고, 각 센서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활용하여 인공지능을 적용한 홍수예보 체제(플랫폼)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498억 원을 투자하고 2023년에서 2024년까지 시범운영 단계를 거쳐 2025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홍수예보 활용체계(자료제공 - 환경부)
홍수예보 활용체계(자료제공 - 환경부)

 

먼저, 강우레이더를 활용해 기습적인 폭우에 따른 돌발홍수를 잡는다. 기존 하천 수위를 중심으로 운영되던 방식은 도심지의 돌발홍수 예측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강우레이더를 활용해 읍동 단위까지 1시간 전에 예측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강우레이더와 기상레이더
강우레이더와 기상레이더

 

전국 강우레이더 현황도
전국 강우레이더 현황도

 

기후변화 심화에 따른 극한의 홍수 및 가뭄 등 대응을 위해 수자·수재해를 감시하는 수자원 위성을 2025년까지 개발한다.

500급 위성을 통해 시간이나 기상조건과 무관하게 홍수와 가뭄 등 수자원 정보를 관측폭 120, 하루 2회 관측할 수 있다.

 

관측소 개괄 현황
관측소 개괄 현황

 

이를 위해 올해에는 영상레이더 지상모델(지상에서 실험할 수 있는 장비) 제작, 관련 알고리즘(검증활용) 시범 구현 등 선행연구를 수행한다.

위성개발이 완료활용되는 경우 홍수, 가뭄, 녹조 등에 대한 광역적 감시가 가능하게 되어 북한(접경지역 홍수관리 등) 및 동남아시아 국가와의 수자원 협력(예보지원, 정보공유 등), 물산업 진출 등이 기대된다.

그동안 도면으로 열람하던 홍수위험지도를 2021년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으로 구축하여 온라인으로 손쉽게 열람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홍수위험지도 세부작성 현황
홍수위험지도 세부작성 현황

 

홍수위험지도는 수자원의 조사·계획 및 관리에 관한 법률7조에 따라 중앙정부 및 지자체 등에 제공되고 있으며, 자연재해저감 종합계획, 비상대처계획 수립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2001년부터 2016년까지 한강, 낙동강, 영산강 등 국가하천에 대해 홍수위험지도 작성을 완료하, 현재 전국 지방하천에 대한 홍수위험지도를 마련 중에 있다.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이번 장마기간에 발생한 홍수로 인한 피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첨단과학기술을 적용한 홍수관리기법을 선보이겠다라면서, 이러한 과학적 홍수관리기법을 댐과 하천의 정비방안과 함께 항구적 홍수관리대책에 포함시켜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데 앞장서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