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소재생산 등 5개로 구성

전주 도도동 일대에 추진 중인 정원산업 클러스터 구축사업의 밑그림이 나왔다.

전주시는 지난 5개월 동안 진행했던 ‘전주 정원문화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기본구상 수립용역’이 모두 마무리됐다고 31일 밝혔다.

‘천만그루 정원도시’를 선언한 전주시는 앞선 4월, 도도동 항공대 인근 34만㎡ 부지에 정원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기 위한 기본구상 수립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전주 정원문화 클러스터 조감도 (자료제공 : 전주시)
전주 정원문화 클러스터 조감도 (자료제공 : 전주시)

 

정원산업 클러스터란 정원과 관련한 생산, 유통, R&D, 교육, 문화 및 관광 등 모든 시설 및 기능이 집적화된 것을 말한다.

기본구상 용역을 맡은 ㈜에스엠에이는 정원문화 클러스터 사업 대상지를 Δ정원 식물소재 생산구역 Δ정원 박람회구역 Δ정원산업 혁신구역 Δ정원휴양 및 관광구역 Δ정원 소재 유통구역 등 총 5개의 구역으로 구분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먼저 정원 식물소재 생산구역은 시립 양묘장 이전과 스마트양묘장과 수생양묘시설 설치 등을 통해 정원 관련 식물소재의 생산을 담당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정원 박람회구역은 전시 공간 등 정원 관련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꾸며진다.

정원산업 혁신구역에는 정원지식산업센터와 정원전문인력양성센터 등이 설치되면서 정원 관련 기업들의 창업보육 및 실습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정원휴양 및 관광구역에는 전주시민과 여행객을 위한 주민참여 공동체정원과 치유정원, 어린이정원 등을 조성하자는 의견이 제시됐다.

정원소재 유통구역의 경우 유통센터와 가든마켓, 야외전시판매장, 대규모 주차장을 조성, 정원소재 및 관련 도구를 판매·전시·유통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진다.

전주시는 이번 용역결과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와 주민 의견 등을 수렴해 최종 계획을 수립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김승수 전주시장은 “정원산업 클러스터는 시민들이 정원문화를 누리는 공간이자, 정원 관련 지원기관과 단체들이 집적해 관련 소재 생산에서부터 유통 등 정원산업을 이끄는 공간이 될 것”이라며, “정원문화와 정원산업의 생태계 조성 뿐 아니라, 열섬현상과 미세먼지를 낮추고 미래세대의 환경까지 지켜낼 수 있는 곳으로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