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까지 농촌용수 수질자동측정망 90개소 구축
실시간 수질측정, 수질정보시스템개발로 신속한 수질오염, 대응가능 기대

 

한국농어촌공사(사장 김인식)ICT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수질측정이 가능한 농촌용수 수질자동측정망 구축사업에 오는 2022년까지 총 425억원을 투입한다 .

이 사업은 현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이송해 분석하는 기존 수질조사방식을, 현장에 자동측정장치를 설치해 측정된 내용을 디지털화하는 방식으로 개선해 깨끗하고 안전한 농업용수 관리를 위한 그린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

 

 

농식품부는 한국판 그린 뉴딜사업으로 이번 사업을 발굴하여 지원하게 되었으며, 수질자동측정장치와 수질정보시스템이 완료되면 저수지 수질의 실시간 관측 뿐 아니라 , 다양한 데이터 수집과 활용이 가능해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분석을 통한 수질변화 예측과 사전 예방적 수질관리가 가능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공사는 농업용수 수질관리를 위해 1990년부터 수질측정망을 운영하며 저수지 975개소에 대한 분기별 측정과 그 결과를 활용한 수질개선사업을 계속해 오고 있다 .

그러나 최근, 경제활동과 오염원 유입이 증가되면서 수질오염사고는 201511 건에서 2019년에는 43건으로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데다, 수질오염사고 중 유류 오염과 축분오폐수 유입이 46%를 차지하고 있어, 오염사고시 오염원 확인과 이에 따른 신속한 대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공사는 수질오염감시를 위해 우선 올해 저수지 30개소에 자동측정 장치를 설치하고, 오는 2022년까지 총 90개소 360개 지점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

설치대상은 국가 관리 주요 저수지 중 수질오염사고 발생 시 피해 심각성과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되었으며, 규모가 큰 저수지부터 우선적으로 설치할 예정이다 .

또한, 공사는 수질관련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활용한 분석을 통해 환경사고를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수질을 관리할 수 있는 수질관리플랫폼을 구축해 2023년부터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김인식 사장은 농촌용수 수질자동측정망사업을 시작으로 디지털 기술을 수질관리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수질오염사고를 예방하고, 깨끗한 물을 공급해 안전한 친환경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는 그린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