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별 기준 및 실행방안’에 따라 국립공원 다중이용시설 7월 23일부터 개방, 대피소는 개방 제외
▲ 생태탐방원(북한산, 설악산, 소백산, 한려해상, 가야산, 내장산 등 6곳) ▲체류형 숙박시설(태백산 민박촌, 덕유산 덕유대) ▲ 야영장(치악산, 월악산, 소백산 등 풀옵션 캠핑시설 및 카라반) 등
환경부 (장관 조명래 )와 국립공원공단 (이사장 권경업 )은 생태탐방원 , 체류형 숙박시설 , 야영장 (풀옵션 캠핑시설 ) 등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을 7 월 23 일부터 재개한다고 밝혔다 .
국립공원공단은 지난 5 월 6 일부터 ‘코로나 19 사회적 거리두기 1 단계 (당시 명칭 생활 속 거리두기 )’가 시행되면서 국립공원 내 다중이용 시설 중 실외에 있는 야영장을 50% 수준으로 우선 개방한 바 있다 .
이번에 운영을 재개하는 시설은 ▲ 생태탐방원 (북한산 , 설악산 , 소백산 , 한려해상 , 가야산 , 내장산 등 6 곳 ) ▲체류형 숙박시설 (태백산 민박촌 , 덕유산 덕유대 ) ▲ 야영장 (치악산 , 월악산 , 소백산 등 풀옵션 캠핑시설 및 카라반 ) 등이다 .
국립공원공단은 취사도구 등 대여물품 미제공 , 객실 수용력의 50% 수준 유지 , 1 박 2 일 이상 예약 제한 등 각 시설의 방역 및 운영 여건을 감안하여 시설을 개방할 예정이다 .
지자체의 사회적 거리두기 2 단계 조정에 의해 운영중단 중인 지리산 생태탐방원 (전남 구례 소재 )과 무등산생태탐방원 (광주광역시 소재 )은 광주 ․전남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가 하향될 경우 (2 단계 →1 단계 ) 다른 지역의 생태탐방원 수준으로 운영이 재개될 예정이다 .
다만 지리산 , 설악산 , 덕유산 등 전국 국립공원 14 개 대피소는 고지대에 위치한 시설로 예약확인․숙박공간 지정 후에도 빈번한 자리이동, 높은 시설 밀폐도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었고, 탐방객 안전, 방역 및 운영여건에 어려움이 예상되어 이번 추가 개방 대상 시설에서 제외되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코로나 19 방역 및 관리 여건이 개선되면 대피소 운영 재개를 결정할 예정이다 .
추가 개방되는 다중이용시설은 밀집도를 줄이기 위해 사전예약제로 시설을 운영할 예정이며, 국립공원 예약통합시스템(reservation.knps.or.kr)을 통해서 예약 후 이용이 가능하다. 숙박시설의 예약은 시설 소독 및 방역 등을 감안하여 1박 2일로 예약을 제한한다.
국립공원 시설을 이용하는 탐방객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발표한 개인방역 5 대 수칙 및 4 대 보조수칙 등을 준수해야 하며 , 시설별 이용자 위생수칙과 행동요령 등을 따라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