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내년부터 ‘직장인 한 끼’부터 ‘야간 아이돌봄’, ‘노인 스포츠 강좌’, ‘공중화장실 불법촬영 탐지’까지 일상 전반을 손보는 대규모 생활밀착형 예산안을 꺼내 들었다. 이재명 정부 첫 예산안인 2026년 예산안이 국민 체감도를 전면에 내세우며 생활·안전·복지 전 분야를 흔들어 깨우고 있다.
핵심은 ‘직장인의 밥값 부담 해소’다.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근로자 5만 4000명에게 월 4만 원 상당의 식비를 지원한다. 정부는 “직장인 식사 한 끼도 국가가 책임진다”는 기조 아래 내년 예산 79억 원을 신규 투입한다. 기업 선택으로 ‘천원의 아침밥’ 혹은 ‘든든한 점심밥’ 지원도 맞춤형으로 들어간다.
지역경제 회생 카드도 등장했다. 정부는 인구감소지역에서 여행경비 절반을 최대 20만 원까지 지역사랑상품권으로 돌려주는 ‘지역사랑 휴가지원제’를 20개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한다. 농어촌 84곳 중 공모를 통해 10만 팀을 선정해 본격 시행한다. 사실상 “지자체가 여행객에게 절반을 돌려주는 파격 환급제”가 현실화되는 셈이다.
노인을 겨냥한 ‘어르신 맞춤형 스포츠 강좌’도 신설돼 100만 명 규모로 운영된다. 노인복지관, 체육시설, 경로당 등에서 무료로 스포츠 프로그램을 제공해 신체·정신 활력 제고와 장기 의료비 절감까지 노린다.

‘어린이 과일간식 지원’도 신규 편성됐다. 초등 1~2학년에게 주 1회 국산 과일·과채 간식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성장기 어린이의 식습관 개선과 국산 과일 소비 기반 확대까지 동시에 겨냥한다.
청소년 예방접종도 대폭 강화된다. 독감 무료접종은 13세 이하에서 14세 이하로 확대하고, HPV 백신은 여아뿐 아니라 12세 남아까지 전면 지원한다. 정부는 “남·녀 동시 접종으로 자궁경부암·구인두암 예방효과를 극대화한다”고 밝혔다.
최장 24시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는 ‘지역아동센터’도 대폭 늘어난다. 오후 10시까지 운영하는 센터는 300개로 확대되고, 자정까지 운영하는 센터도 50곳 새로 문을 연다. 여기에 밤 10시~새벽 6시 긴급돌봄 서비스가 신규 도입돼 중위소득 75% 이하 가구에는 야간 할증요금 전액 지원이 붙는다. 돌보미에게는 ‘야간긴급 돌봄수당’도 지급된다.
‘먹거리 기본보장 코너’도 내년부터 가동된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에게 최소한의 생필품·먹거리를 긴급 지원하고, 반복 방문 시 복지서비스와 자동 연계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발달장애인·장애아동 가족에게 지급하는 ‘휴식쿠폰’은 39억 원 규모로 확대되며, 1인 중증장애인기업을 돕는 업무보조·의사소통·경영지도 지원사업도 17억 8000만 원으로 신설된다.
마지막으로 ‘안전한 화장실 조성’ 사업도 출범한다. 불법촬영 탐지 시스템을 공중화장실 2500곳, 비상벨을 3500곳에 설치해 범죄 취약 공간을 정면 돌파한다. 예산은 62억 7500만 원. 정부는 “공중화장실에 대한 국민 불안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겠다”고 못 박았다.
정부는 “2026년 예산안은 생활 전 영역에서 국민이 즉시 체감할 수 있는 사업을 중심으로 재구성됐다”며 “성과 중심 재정 운영으로 새로운 백 년의 출발점이 되게 하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