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쌀 생산량이 예상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정부가 10만 톤 규모의 쌀 격리에 나선다. 수요보다 공급이 늘어나면 쌀값이 하락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선제 조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고 ‘2025년산 쌀 수급 안정 대책’을 확정했다.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5년산 쌀 예상생산량은 약 357만 4천 톤이다. 지난해보다 재배면적은 2만ha 줄었지만,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527kg으로 증가하면서 전체 생산량은 전년 대비 1만 1천 톤가량만 감소했다. 반면 쌀 수요는 밥쌀 소비가 줄고 가공용 소비가 늘어 340만 9천 톤으로 전망돼, 초과 물량은 약 16만 5천 톤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위원회는 이러한 수급 불균형이 쌀값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초과량 중 10만 톤을 우선 격리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격리 물량은 8월부터 추진된 정부양곡 대여 반납분 5만 5천 톤과 밥쌀 시장에서 제외되는 사전격리분 4만 5천 톤으로 구성된다. 나머지 6만 5천 톤에 대해서는 추후 생산량과 소비량을 재점검한 뒤 추가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현재 쌀값은 전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새 쌀(햅쌀)이 본격적으로 출하되는 10월 중순 이후에는 산지 중심으로 가격이 안정화되고, 소비자 가격도 점진적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쌀 할인행사를 이달 말까지 연장하고, 할인폭을 기존 20kg당 5천 원에서 7천 원으로 확대한다.

또한 최근 깨씨무늬병 피해가 확산되면서 농가의 피해가 커지고 있어, 정부는 정밀조사를 실시하고 10월 중 농업재해 인정 여부와 복구비 지원 방안을 확정하기로 했다. 피해벼는 농가 희망물량 전량을 매입해 소득 안정을 도모하고, 시중 쌀 품질 저하를 방지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산지유통업체에 대한 벼 매입자금 지원, 쌀 유통질서 단속, 수출 확대 전략도 병행된다. 일본 등 주요국의 쌀값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국내 초과 물량을 수출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농식품부 강형석 차관은 “올해는 수확기 쌀값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며, 수확 이후에도 시장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 쌀값이 급등락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