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과 고령자, 양육가구 등 특정 수요층을 겨냥한 맞춤형 특화주택이 본격적으로 확대된다. 국토교통부가 오는 9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두 달간 공공주택사업자와 지자체, LH·지방공사 등을 대상으로 특화주택 공모를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공모는 단순한 임대주택 공급을 넘어 주거공간과 돌봄·복지·일자리 연계 서비스까지 함께 제공하는 새로운 주거 모델을 확산하기 위한 것이다.
특화주택은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지자체가 지역 특성에 맞춰 입주 자격, 거주 기간 등을 자율적으로 설정할 수 있어 귀농·귀촌 장려, 청년 정착, 출산 지원 등 지역 맞춤형 수요를 반영할 수 있다.
둘째,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 고령자를 대상으로 안전손잡이, 미닫이 욕실문 등 고령자 친화적 설계와 경로식당, 건강상담실 등 복지시설을 함께 제공한다.
셋째, 청년특화주택은 도심 역세권 등 선호 입지에 청년 맞춤형 소형 평형과 빌트인 가구, 멘토링·심리상담 서비스 등을 결합한 주택이다.
넷째,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산업단지 근로자나 청년 창업가 등을 위한 주택으로, 공유오피스와 창업센터 등 특화시설이 함께 제공된다.
이번 공모에 선정된 사업은 주택도시기금 등 국가 재정지원을 통해 건설비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특히 내년도(2026년) 예산안에는 청년특화주택과 육아친화 플랫폼 건설비가 신규 반영돼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다.

국토부는 공모에 앞서 권역별 사업설명회를 열었으며, 접수된 제안은 서류 검토와 현장조사, 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국토부 이기봉 주거복지정책관은 “지역의 수요와 실정에 맞는 특화주택 공급을 통해 주거 안정과 지역 활력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와 공공주택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