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중소벤처기업의 성장을 견인할 기술개발(R&D) 혁신방안을 내놨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5일, 딥테크 혁신기업 ㈜엔도로보틱스에서 ‘중소벤처 기술개발(R&D) 혁신방안’을 발표하며 2026년 예산을 역대 최대 규모인 2조 2천억 원으로 확대 편성했다고 밝혔다. 목표는 단순 연구지원이 아닌 ‘시장 성과로 이어지는 돈이 되는 기술개발’이다.

이번 혁신방안은 △팁스(TIPS) 방식 기술개발(R&D) 확대 △기술사업화 촉진 프로그램(한국형 STTR) 도입 △분야별 전략적 지원 강화 △수요자 중심의 지원체계 개편 등 4대 축으로 짜였다.

가장 큰 변화는 민간 벤처캐피탈과 함께하는 팁스 방식 R&D의 대폭 확대다. 2026년 관련 예산은 1조 1,0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72.6% 증가한다. 창업 초기 위주였던 기존 틀을 넘어 성장·글로벌 진출까지 전 주기를 지원하며, 과제별 지원 규모도 기존 최대 12억 원에서 최대 30억 원으로 상향된다. 특히 ‘글로벌 팁스’가 신설돼 해외 진출 기업에 4년간 최대 60억 원까지 지원된다. 딥테크 분야에서는 기술 목표를 시장 상황에 맞춰 조정할 수 있는 ‘무빙타겟’ 방식을 적용하고, 최대 200억 원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딥테크 챌린지 프로젝트(DCP)’도 추진된다.

 

 

기술사업화 촉진을 위한 새로운 제도도 도입된다. 미국 STTR 모델을 벤치마킹한 ‘한국형 STTR’은 공공기술을 기업 성장으로 연결하는 3단계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기술·시장성 검증(1억원) → 본격 R&D(최대 10억원) → 사업화 지원으로 이어지는 구조로, 투·융자·수출·마케팅까지 이어지는 맞춤형 사업화 패키지와 연계된다. 또 ‘기술개발 사업화 보증’ 신설을 통해 3,100억 원 규모의 보증도 공급할 계획이다.

분야별 전략적 투자는 인공지능(AI), 바이오, 지역 주력산업, 탄소중립 등 미래 먹거리 산업에 집중된다. AI 활용·확산 450억 원, 지역 주력산업 969억 원, 바이오-AI 공동 연구 118억 원이 각각 지원되며,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 예타 사업도 추진 중이다.

중소기업의 행정부담을 줄이는 방안도 포함됐다. 신청 서류는 기존 최대 20종에서 4종으로 대폭 줄이고, 챗봇과 AI 기반 사업계획서 보조 시스템을 도입한다. 또한 평가위원 풀을 3만 명으로 확대하고, 기업이 평가위원을 평가하는 ‘역평가제도’를 강화해 공정성과 전문성을 높인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기술개발(R&D)은 중소기업의 혁신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최고의 정책”이라며 “돈이 되는 R&D, 시장의 선택을 받는 기술을 집중 지원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현장 간담회에서는 “정책의 디테일이 성공을 좌우한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