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이동이 눈에 띄게 둔화했다. 2025년 8월 전국 이동자 수는 49만 3천 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만 8천 명 줄어 3.5% 감소했다. 인구 백 명당 이동자를 의미하는 인구이동률은 11.4%로 전년 동월 대비 0.4%포인트 낮아졌다. 여름철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이동 규모가 줄어든 것은 경기침체, 주거비 부담, 교통비 상승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동자 가운데 63.9%가 같은 시·도 내에서 이동했고, 36.1%는 다른 시·도로의 이동이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할 때 시도 내 이동자는 5.5% 줄어든 반면, 시도 간 이동은 0.4% 증가해 ‘생활권 내부 이동은 줄고, 외부로의 이동은 소폭 늘어난’ 흐름을 보였다. 이는 같은 지역 안에서 집을 옮기는 수요가 위축된 반면, 일자리나 교육, 주거환경 등을 이유로 권역을 넘는 장거리 이주가 상대적으로 유지된 결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일부와 충청권이 인구 순유입을 보였다. 경기(3,979명), 인천(1,941명), 대전(959명), 충북 등 5개 시도는 전입자가 전출자를 웃돌았다. 특히 대전과 인천은 각각 0.8%의 순이동률을 기록하며 전국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반대로 서울은 -1,815명, 경북 -1,527명, 경남 -1,154명 등 12개 시도가 순유출을 기록했다. 세종은 -0.9%로 전국에서 가장 큰 순유출률을 보였고, 광주(-0.6%), 경북(-0.7%)도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최근 3년간 인구이동
최근 3년간 인구이동

 

이는 수도권 내에서도 서울에서 경기·인천으로 빠져나가는 전형적인 ‘탈서울-수도권 재편 현상’과 함께 충청권 일부 도시가 새로운 거점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반도체·바이오산업단지 조성과 교통망 확충이 예정된 경기 남부와 충북, 대전은 향후 더 큰 인구 유입이 예상된다. 반면 세종은 초기 기대와 달리 인구 정착력이 약화되고 있으며, 지방 중소도시는 여전히 젊은 층 이탈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다.

 

전국 8월 인구이동
전국 8월 인구이동

 

이동률의 장기 추이를 보더라도 하락세가 뚜렷하다. 2015년 14.3%였던 인구이동률은 2017년 14.8%까지 올랐지만, 2025년 현재 11.4%로 10년 새 3%포인트가량 떨어졌다. 8월 이동자 수도 2015년 61만 9천 명에서 2025년 49만 3천 명으로 크게 줄었다. 고령화, 주거 불안정, 경기 침체가 맞물리며 ‘이사하는 사회’에서 ‘정착하는 사회’로 이동 패턴이 변화하는 흐름을 보여준다.

 

 시도별 순이동률, 2025년 8월
 시도별 순이동률, 2025년 8월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인구이동의 절대 규모는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다만 특정 권역, 특히 경기 남부·인천·충청권으로의 집중 현상은 심화될 전망이다. 이는 교통망 확충, 산업단지 개발, 수도권 집중 억제 정책과 맞물려 지역별 격차를 키울 수 있다는 점에서 정책적 대응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