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해상풍력 인허가 속도를 높이기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를 출범시켰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입지적 강점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앞당기겠다는 의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10일 오전 8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국내 해상풍력 보급 확대를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이번 회의에서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문제 등 해상풍력 사업의 주요 걸림돌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정부 부처가 원팀으로 협력해 해결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해상풍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주력 전원일 뿐 아니라, 조선·철강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해상풍력은 0.35GW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난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를 도입한 이후 총 4.1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2025년 3월 해상풍력특별법 공포를 통해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낙찰된 4.1GW 사업의 성공적인 정착 여부가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실기하지 않기 위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충, 금융 지원 등 관계부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키워드
#해상풍력 #재생에너지 #탄소중립 #산업통상자원부 #해상풍력특별법 #에너지대전환 #풍력발전 #정부TF #재생에너지정책 #해상풍력인허가 #에너지전환 #청정에너지 #그린뉴딜 #에너지정책 #조선산업 #철강산업 #풍력프로젝트 #신재생에너지 #탄소감축 #해상풍력보급
이혜숙 기자
ilbong88@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