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한복판에서 한국 전통 궁중음악과 서양 궁중무용이 만난다. 국가유산청이 마련한 「고궁음악회」가 올가을 경복궁과 종묘에서 열리며, ‘발레×수제천’과 ‘풍류에 제례악을 더하다’ 두 편의 무대로 동서양 예술이 교차하는 특별한 시간을 선보인다.
이번 음악회는 단순히 공연을 감상하는 자리가 아니라, 한국의 고궁이 가진 역사성과 공간적 의미를 무대 예술과 융합해 관객이 직접 ‘시간과 문화의 교차점’을 경험할 수 있도록 기획됐다.
경복궁 집옥재에서 열리는 ‘발레×수제천’(9월 25일~28일, 오후 7시)은 이름 그대로 한국의 대표 궁중음악인 수제천과 서양 궁중무용인 발레의 만남이다. 2022년 초연 후 꾸준한 호응을 얻어온 이 공연은 올해 다시 무대에 올라,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을 아우르는 세 편의 장면으로 관객을 맞는다.
‘발레 정재’는 고전 발레와 수제천의 조화, ‘발레 판타지’는 로맨틱 발레와 전통음악의 교감, ‘발레 비나리’는 신진 무용수들의 역동적 현대 발레가 중심이다. 한국예술종합학교 발레단, 국립국악원 정악단, 앙상블 시나위, 연희컴퍼니 유희 등 90여 명의 대규모 출연진이 참여해 궁궐의 밤을 화려하게 수놓는다.
티켓은 9월 9일 오후 2시부터 티켓링크에서 예매 가능하며, 선착순으로 1인 최대 4매까지 구매할 수 있다. 일반 관람료는 2만 원, 만 65세 이상·장애인·국가유공자는 전화 예매가 가능하다.

이어 10월 9일부터 12일까지 종묘 영녕전에서는 종묘제례악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30주년을 기념하는 ‘풍류에 제례악을 더하다’가 진행된다. 하루 두 차례(오후 2시, 4시) 열리는 이 공연은 종묘제례악의 전통적 울림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선보인다.
첼로와 국악관현악의 협연, 새로운 절차를 더한 창작적 제례 공연 등, 전통과 현대의 공존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다. 종묘제례악보존회, 세종국악관현악단, 음악그룹 ‘나무’, 월드뮤직그룹 ‘공명’ 등이 참여해 전통의 울림에 새로운 해석을 더한다. 이 공연은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현장에서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 종묘를 찾는 이들에게 뜻밖의 문화적 선물이 될 예정이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은 이번 음악회가 “궁궐을 단순한 역사 공간이 아니라, 살아 있는 문화 예술의 무대로 확장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궁궐에서 예술을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계속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