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혁신조달의 무게추가 또 한 번 미래로 향했다. 인공지능(AI), 바이오헬스, 기후테크 등 첨단 분야에서 국민 생활을 개선하고 국가 경쟁력을 높일 67개 제품이 조달청의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 단순한 기술 인증을 넘어, 공공 구매 시장의 문이 열리면서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이 성장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조달청은 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혁신제품 지정서를 수여하고,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인정받은 기업들을 공식적으로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제품들은 ‘스카우터(추천위원)’ 제도, 조달기업 직접 신청, 공공수요 기반 인큐베이팅 과정을 거쳐 객관적 심사와 검증을 통과한 성과물이다.

이번 혁신제품 리스트에는 눈길을 끄는 AI 융복합 제품이 대거 포함됐다. ▲AI 기반 개인정보 탐지 및 치환 보안솔루션, ▲CCTV 영상 속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는 기술, ▲AI 품질진단‧관리 솔루션, ▲AI 활용 민원서식 자동 작성 서비스, ▲광역 재난 현장 지휘차,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능형 산사태 감지 시스템 등은 미래 사회의 안전과 편의를 책임질 핵심 기술들이다. 여기에 더해 휴대용 유전자 진단기, 신개념 바이오 진단 장비 등도 포함돼 보건·의료 분야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혁신제품 지정은 기업에 단순한 명패 이상의 가치를 준다. 지정 제품은 최대 6년간 수의계약이 가능하고, 우선구매 제도를 통해 공공기관이 적극적으로 구매할 수 있다. 특히 조달청이 직접 예산을 투입해 구매한 뒤 공공기관이 실증에 나서는 시범구매 제도는 혁신제품 초기 시장 진입을 견인하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있다. 이는 기술을 보유했지만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던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성장 동력이 된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혁신조달은 정부가 위험을 함께 감수하며 중소·벤처기업의 혁신 기술 판로를 열어주는 정책”이라며 “혁신제품 공공구매 규모를 현재 1조원에서 2028년까지 2조원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AI, 바이오헬스, 기후테크 같은 미래 산업이 우리 경제의 확실한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부가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혁신제품 지정은 단순히 신기술을 인증하는 데서 멈추지 않는다. 공공성과 혁신성이 동시에 검증된 기술들이 국민 생활 속으로 들어와 안전, 건강, 편리함을 높이고, 동시에 한국 경제의 미래 먹거리 산업을 키우는 초석이 되는 것이다. 조달청의 혁신조달 정책은 앞으로도 기업과 국민을 동시에 살리는 두 축으로 작동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