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가 ‘든든한 전세’와 ‘내 집 마련’ 기회로 바뀐다. 오는 9월 1일부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본격적으로 매입 신청을 받으면서 지방 부동산 시장에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방 건설투자 촉진과 경기 회복을 위해 LH가 시행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 매입’ 물량을 대폭 확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2차 매입공고에서는 물량을 기존 3천 호에서 8천 호까지 늘리고, 매입 상한가도 감정평가액의 83%에서 90%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지난 8월 발표한 ‘지방중심 건설투자 보강방안’의 후속 조치다.

 

 

매입 대상은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다. LH는 신청 단지의 임대 활용 가능성과 향후 분양전환 가능성 등을 종합 평가해 매입 여부를 결정한다. 매입 가격은 업체가 제시한 ‘매도 희망가’가 기준이 되며, 감정평가액의 90%를 넘지 않는 선에서 순차적으로 매입이 이뤄진다. 미분양 기간, 단지 규모, 매도 희망 비율 등에 따라 차등 적용할 방침이다.

매입된 주택은 ‘분양전환형 든든전세’로 공급된다. 입주자는 시세의 90% 수준 전세로 6년간 거주할 수 있고, 이후 분양전환을 선택하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내 집을 마련할 수 있다. 분양을 원치 않을 경우 추가로 2년 더 거주할 수 있어 청년·신혼부부 등 무주택 서민들에게 안정적인 주거와 내 집 마련 기회를 동시에 제공한다.

국토부는 이번 매입 확대가 건설사에 유동성을 공급해 자금 경색을 완화하고, 지역 경제 회복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규철 국토부 주택토지실장은 “임대 수요가 충분한 우량 주택만 엄선해 매입할 계획”이라며 “지방 무주택 가구가 안정적인 주거 사다리를 타고 내 집 마련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부 공고는 8월 29일부터 LH청약플러스(apply.lh.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