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서 쓸 수 있지?’라는 질문, 이제 지도 앱이 답한다.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 정책이 민간 지도 서비스와 연계되면서, 소비자는 더 빠르고 정확하게 쿠폰 사용 가능 매장을 찾을 수 있게 됐다.
소비자의 불편 해소와 사용처 확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겨냥한 디지털 행정 서비스의 실험이다.
행정안전부는 29일, 민생회복 소비쿠폰 가맹점을 네이버지도, 카카오맵, 티맵 등 민간 지도 앱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 중이라고 밝혔다.
기존에는 별도의 가맹점 검색 페이지를 통해야 했던 절차가 지도 앱 내부로 흡수되면서 접근성과 편의성이 크게 향상됐다.
이번 서비스는 행안부가 여신금융협회 및 주요 신용카드사와의 협업을 통해 민간 지도 앱 기업에 소비쿠폰 가맹점 데이터를 제공하면서 가능해졌다.
지도 앱 기업은 이를 자체 데이터와 연동해 위치 기반 표출 서비스를 구축했고, 현재 전국 가맹점 중 약 50~60%가 지도상에 노출되고 있다.
지도 표출 비율이 100%가 아닌 이유는, 가맹점 주소의 표기 방식 차이, 좌표 데이터 부족, 지도 사업자가 보유한 기존 상점 DB와의 매칭 문제 등 기술적 병목 때문.
하지만 행안부는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표출 비율을 점진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잘못된 정보가 지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실시간 정비 체계도 가동 중이다.
특히 이번 연계는 단순한 데이터 제공이 아니라, 공공-민간-금융-플랫폼 산업의 협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정부는 쿠폰 정책을 통해 민생 소비 진작과 소상공인 지원을 추진하고, 민간 플랫폼은 이를 사용자 편의성 개선과 서비스 고도화로 연결하는 방식이다.

지도 앱은 사용자의 검색 빈도, 위치 기반 알림, 주변 추천 기능 등을 통해 소비쿠폰 가맹점의 노출 빈도를 자율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구조다.
이런 기능은 특히 이동 중 소비나 지역 상권 이용자에게 큰 이점을 제공한다.
정부는 앞으로도 행정데이터의 민간 연계 활성화를 통해 소비자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실질적인 혜택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단순한 ‘쿠폰 배포’에서 나아가, 정책이 일상에 스며드는 구조적 시스템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