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근처 전세 3억 이하, 초등학교가 100m 안에 있는 아파트 보여줘.”
이제 이 한마디면, 3D 지도 위에 조건에 맞는 매물이 펼쳐진다. 부동산 앱을 뒤지고 공인중개소를 찾아다니는 일은 머지않아 과거의 풍경이 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 AI(Geo-AI) 기술의 기반 개발을 마치고, 오는 8월부터 본격적인 상용화 연구개발(R&D)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공간정보(지도·위치·이동체 등)를 이해하고 분석해 사용자의 질의에 맞춘 시각적 응답을 제공하는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다.

Geo-AI는 기존 챗봇형 AI와 차별화된 3가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첫째, 사용자의 질의에 따라 3차원 지도로 시각화된 응답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 지역에 유해시설은 없을까?”라고 묻는다면, 관련 공공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위치를 3D 지도로 보여준다.

둘째는 공간적 맥락과 관계를 추론하는 능력이다. “출근길이 왜 막히지?”라는 질문에 거리, 방향, 실시간 교통 흐름 등을 종합해 논리적인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셋째는 다양한 형식의 공간데이터를 융합해 고도화된 정보 제공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도시계획, 사회기반시설, CCTV, 기후 데이터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해 신뢰도 높은 결과를 제시한다.

 

 

Geo-AI의 활용은 부동산 검색을 넘어 일상 전반에 걸친다.
스마트폰이나 내비게이션에서 접속만 하면, 가까운 병원 인프라가 잘 갖춰진 아파트, 반려동물과 살기 좋은 공원 인근 지역 등 개인의 조건에 최적화된 주거 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일부 부동산 스타트업은 Geo-AI 기술을 기반으로 AI 중개서비스를 시범 운영 중이다. 매물 추천에서 상담 연결까지 원스톱 자동화된 흐름이 가능하다.

건설현장에서도 활용 폭은 넓다. Geo-AI가 탑재된 스마트글래스를 착용한 작업자는 음성 명령만으로 지하시설물의 위치를 실시간 파악해 안전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자율주행로봇에 적용될 경우 “이 주소로 가장 빠른 길로 가줘”라는 명령에 따라 장애물과 교통 상황을 실시간 분석하여 최적 경로로 이동하게 된다.

국토부는 향후 Geo-AI 기술을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에 시범 운영하는 방안을 마련 중이며, 이를 통해 국민 누구나 쉽게 지도 기반 AI 서비스를 체험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Geo-AI는 국민 누구나 복잡한 공간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라며 “부동산부터 교통, 안전까지 AI로 연결된 일상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