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가 취업 취약계층을 위한 국민취업지원제도 참여 인원을 대폭 늘리고, 건설업 퇴직자를 위한 특화 지원을 새롭게 도입한다. 이번 조치는 경기침체와 고용 둔화가 지속되는 가운데, 실질적인 일자리 복귀를 위한 ‘회복과 성장의 마중물’로 기능할 전망이다.
정부는 2025년도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국민취업지원제도 예산을 총 1조 109억 원으로 증액했다. 당초 8,457억 원에서 1,652억 원을 추가 확보함에 따라, 올해 지원 대상 인원이 기존 30.5만 명에서 36만 명으로 확대됐다.
이번 확대분 중 2.7만 명은 구직촉진수당을 받는 I유형(요건심사형), 2.8만 명은 맞춤형 취업서비스를 제공받는 II유형에 배정됐다. 특히 II유형에는 ‘건설업 퇴직자 특화 프로그램’이 신설되어, 8월부터 건설현장에서 일하다 실직한 중장년층 구직자 1만 명이 대상이다.

새로 도입된 건설업 특화 프로그램은 기존보다 훨씬 강화된 수당 지원이 특징이다. 훈련참여지원수당이 기존 월 최대 28.4만 원에서 48.4만 원으로 월 20만 원 인상되고, 취업활동계획 수립에 참여할 경우 별도로 10만 원의 참여수당도 지급된다. 해당 지원은 최대 6개월까지 제공된다.
실제 사례도 있다. 2023년 건설현장을 떠난 ㄱ씨(62세)는 7개월간 실직 상태에 머물다 2024년 1월 국민취업지원제도에 참여했다. 심층 상담과 직업심리검사를 통해 희망 직무를 정한 그는, 직업훈련과 일경험 프로그램을 병행하며 실무 역량을 쌓았다. 전담 상담사와의 면접 클리닉, 이력서·자소서 첨삭 등을 거친 끝에 상용직 재취업에 성공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번 제도 확대가 단순한 재정지원 차원을 넘어, 실질적인 재취업 성공 사례를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건설근로자공제회와 협력해 문자 안내 등 집중적인 참여자 발굴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손필훈 고용서비스정책관은 “이번 추경은 특히 건설업 퇴직자에게 실질적인 재취업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조치”라며 “앞으로도 고용위기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일자리를 원하는 누구에게나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