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검단신도시의 교통 지도가 새롭게 그려진다. 6월 28일 첫 운행을 시작하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 검단연장선은 그간 ‘교통 소외지’로 불리던 검단의 숙원사업이었다. 이날부터 검단호수공원역에서 서울역까지 단 38분이면 도착할 수 있어, 수도권 서북부 교통 편의가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검단연장선은 인천 계양역에서 출발해 아라역, 신검단중앙역, 검단호수공원역까지 이어지는 총 6.8km 구간. 2019년 12월 착공해 5년 만에 마침내 개통을 맞이하게 됐다. 총 사업비는 약 7,900억 원. 계양역에서는 인천 1호선과 공항철도를 동시에 환승할 수 있어 서울 도심과 공항 접근성 모두 개선된다.

기존에는 검단에서 계양역까지 버스로만 40분, 서울역까지는 70분이 소요됐지만, 연장선 이용 시 계양역까지는 8분, 서울역까지는 38분이면 충분하다. 출퇴근 시간 기준 약 30분 이상 단축되는 셈이다.
연장선을 운행하는 열차는 중전철 방식으로 8칸 1편성, 정원은 970명이며, 혼잡도 150% 기준으로 최대 1,455명까지 수송 가능하다.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적용되며, 역간 평균 속도는 시속 48km로 효율적인 운행이 가능하다.
혼잡을 우려한 철도당국도 발 빠르게 대응에 나섰다.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와 인천시 등은 혼잡관리 TF를 구성하고 계양역 등 주요 역사에 총 34명의 안전인력을 배치해 출퇴근 시간 승하차를 안내한다. 계양역에는 환승게이트 2대가 추가 설치되고, 안내 표지와 동선 표식도 정비됐다.

또한, 올해 말까지 공항철도에 총 9편성의 열차가 순차적으로 추가 투입돼 배차간격이 현재 6분에서 4.5분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이와 함께 검단신도시와 역사 간 접근성 향상을 위해 시내버스 2개 노선을 신설하고, 기존 17개 노선과 함께 총 168대가 운행된다.
개통 전날인 6월 27일에는 신검단중앙역에서 개통 기념식도 열린다. 이 자리에는 강희업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 유정복 인천시장, 국회의원,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해 축사와 시승 행사를 함께할 예정이다. 강 위원장은 “검단연장선은 지역 주민들이 오래 기다려온 교통 해법”이라며 “출퇴근 시간 단축과 서울 도심 접근성 개선으로 삶의 질이 한층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개통은 단순한 노선 연장을 넘어, 수도권 서북부 균형발전과 대중교통 중심 도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검단신도시의 교통 현실을 바꾼 이 한 줄의 선이, 앞으로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