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간 방치된 시골 빈집이 다시 움직이기 시작했다. 정부가 농촌 지역의 유휴 자산을 부동산 시장에 직접 올리는 ‘농촌빈집은행’ 사업을 본격화하면서, 시골 빈집들이 더 이상 버려진 공간이 아닌 ‘거래 가능한 자산’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국 18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는 ‘농촌빈집은행’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전국의 농촌 빈집을 민간 부동산 플랫폼에 등록해 귀농귀촌 수요자들과 일반인들이 매물로 확인하고 실제 거래까지 이어지도록 돕는 구조다. 네이버부동산, 디스코, 한방 같은 기존의 부동산 플랫폼은 물론 귀농귀촌종합지원 플랫폼인 ‘그린대로’까지 연동된다.

 

 

핵심은 거래 기반 마련이다. 아무리 수요자가 있어도 소유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빈집은 여전히 ‘버려진 집’일 뿐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오는 6월 11일부터 제주 등 10개 시·군 빈집 소유자들에게 문자를 발송해 매각 의사 확인 절차에 돌입한다. 나머지 8개 시·군은 올해 안에 실태조사를 마무리하고 순차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현재까지 참여 지자체는 경기 이천, 충북 충주·제천·옥천, 충남 예산·홍성, 전북 부안, 전남 강진·광양·담양·여수·영암·완도, 경북 예천, 경남 의령·거창·합천, 제주 등 18곳이다. 농식품부는 이들 지역에서 총 4개의 관리기관과 함께 100여 명의 지역 공인중개사를 지정해 거래 촉진을 맡긴 상태다.

빈집 소유자가 동의서를 제출하면 공인중개사가 현장을 점검하고, 실거래 가능성을 분석한 뒤 본격적으로 매물 등록에 착수한다. 이후 해당 빈집은 각종 온라인 부동산 플랫폼에 노출되며 귀농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구체적인 선택지로 제시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번 사업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전국 40여 개 기 전광판에 공익광고를 송출하고, 홈페이지와 SNS를 활용한 홍보도 병행 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단순히 주거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창업, 문화, 여가의 거점으로 농촌 빈집을 활용할 수 있도록 다각적 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이번 빈집은행 사업은 농촌 공간 재생의 첫 단추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