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5일 환경의 날을 앞두고, 일상에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실천형 친환경 공공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달 추천 공공서비스로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와 ‘탄소중립포인트제’를 소개하며, 환경 보호와 생활 속 혜택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기회를 국민에게 제안했다.
먼저, 폐의약품 회수 서비스는 사용기한이 지난 약이나 변질된 연고 등을 봉투에 밀봉해 가까운 우체통에 넣기만 하면 된다. 이후 집배원이 이를 수거해 지방자치단체가 지정한 장소로 전달하며, 지자체는 이를 안전하게 처리한다.
특히 이 서비스는 2023년부터 우정사업본부와 지방자치단체가 협업해 운영 중이며, 기존 주민센터나 약국 수거함 이용이 번거롭다는 이유로 일반쓰레기로 폐약을 버리던 관행을 대체하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무심코 쓰레기통에 버린 약 하나가 하천, 토양을 오염시키고 생태계 교란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이 서비스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우체통에 버리는 방법은 간단하다. ‘폐의약품’이라고 적은 봉투(전용 회수 봉투 또는 일반 봉투)를 밀봉해 넣기만 하면 된다. 가까운 우체통 위치는 포털사이트나 우체국 누리집, 앱, 회수봉투 QR코드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탄소중립포인트제는 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이 주관하는 국민 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전자영수증 발급, 다회용컵 사용, 친환경제품 구매, 폐휴대폰 반납 같은 친환경 활동에 대해 포인트를 적립해준다. 이 포인트는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현금, 지역사랑상품권 등으로 환전이 가능해 실속 있는 환경 실천이 가능하다.
전기·수도·가스 사용량 감축이나 자동차 주행거리 감소 등도 포함된다. 특히 감축률에 따라 최대 연간 27만 원의 포인트를 받을 수 있어 ‘돈이 되는 환경실천’으로 평가받고 있다. 참여는 각 분야별 누리집과 통합 앱(카본페이)을 통해 가능하다. 다만 자동차 분야는 매년 별도 모집 기간이 있으며, 현재는 신규 신청이 불가하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작은 실천이 큰 변화를 만든다”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혁신적인 공공서비스를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는 정부혁신 누리집 ‘혁신24’와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의 공식 SNS 채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각 주민센타(*동사무소) 에 도
회수용 박스 설치되어있습니다.
좋은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