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와 로봇, 자율주행기술이 일상이 된 시대. 정부가 스마트+빌딩 시대를 열기 위한 기술개발에 본격 착수하며, 일상의 공간인 건축물 자체를 첨단화하는 새로운 전환이 시작됐다.

스마트+빌딩은 단순한 자동화 건축이 아니다.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자율주행차 등 첨단기술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을 혁신하는 미래형 공간이다. 국토교통부는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소시엄과 함께 ‘로봇 친화형 건축물 설계·시공 및 운영·관리 핵심기술 개발’에 착수하며, 본격적인 스마트+빌딩 시대의 첫 장을 연다.

해당 사업은 2025년부터 2028년까지 180억 원의 정부 예산이 투입되며, 세 가지 중점 과제로 구성된다. 첫째는 로봇이 이동하고 작업하기에 최적화된 건축 공간을 만드는 기술 개발이다. 이를 위해 로봇과 사람의 행동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자동 설계기술이 함께 개발되며, 건축 자재 및 시공 기준도 새롭게 정립된다.

둘째는 다양한 로봇들이 실시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건물 내부에 정밀한 공간지도와 로봇 측위 기술을 적용하고, 이를 통합 관리하는 개방형 관제 플랫폼을 구축한다.

셋째는 이 기술들을 실제 건축물에 적용해 검증하는 실증 단계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강동 경희대 병원, 포항 터미널 등이 실증지로 선정되어, 현재 로봇이 실제 운영되고 있는 환경에서 건축기술의 효과성과 문제점을 점검하게 된다.

이 기술개발은 단순한 실험에 그치지 않는다. 향후 스마트+빌딩 기술이 국가건축 표준과 인증제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법·제도 정비까지 이어질 계획이다. 특히 UAM과 자율주행차를 염두에 둔 기술개발도 후속 과제로 기획되고 있어, 미래 도시 인프라의 핵심이 건축물로 집중되는 양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이와 함께 ‘스마트+빌딩 얼라이언스’를 통해 산·학·연·관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분야별 민간 전문가 자문단을 운영해 기술의 실효성과 확산 가능성을 높일 방침이다.

하루 평균 20시간 이상을 보내는 공간인 건축물이 기술 집약체로 진화하면서, 단순한 생활 공간을 넘어 미래 산업과 서비스의 실험장이 되고 있다. 문석준 국토부 건축정책과장은 “AI 혁명에 대응하는 스마트 건축 기술이 국민 일상의 질을 높일 핵심 열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