ㅊ기후위기가 불러온 초대형 산불, 이제는 ‘불 끄기’보다 ‘불 날 틈 없애기’가 더 중요해졌다. 불쏘시개처럼 쌓인 나뭇가지와 수풀, 이것들이 산불을 키우는 핵심 연료다. 연료가 없으면 불도 없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이 ‘숲가꾸기’야말로 대형산불의 확산을 막는 결정적 방법이라며 전 세계 사례를 근거로 경고장을 날렸다.

최근 발표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과 캐나다, 중국 등 산불에 시달리는 나라들이 ‘솎아베기’와 ‘처방화입’을 병행하며 연료 자체를 줄이는 데 집중하고 있다. 미국 서부의 침엽수림에서 두 방법을 적용하자 수관까지 불길이 번지는 확률은 무려 86%나 줄었고, 전체 피해도 70% 이상 감소했다.

‘처방화입’이란 전문가가 통제된 환경에서 일부러 작은 불을 내어 낙엽, 마른 가지 등 산불 연료를 제거하는 방식이다. 마치 ‘미리 태워서 더 큰 불을 막는다’는 개념이다. 이는 단순한 불 끄기보다 훨씬 과학적이며 장기적인 산림 보호책으로 인정받고 있다.

 

처방화법
처방화법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로건 레이크 지역은 실제로 이 전략의 수혜를 본 대표 사례다. 솎아베기 작업이 이뤄진 지역은 산불이 빠르게 진화되었고, 접근로 확보도 용이했다. 중국도 시뮬레이션을 통해 같은 결과를 얻었고, 산불 피해 면적을 21.2%나 줄일 수 있었다.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
산불예방 숲가꾸기 사업

 

한국 역시 산림청 주도로 ‘산불 예방 숲가꾸기’ 사업을 전개 중이다. 고위험 지역을 대상으로 솎아베기와 가지치기를 실시하고, 아래쪽에서 불길을 타고 올라가게 만드는 하층식생을 제거해 산불이 확산될 수 없도록 구조 자체를 바꾸고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이상태 박사는 “산불은 더 이상 예외적 재난이 아니다. 연료를 사전에 통제하지 않으면 진압도, 예측도 어렵다”며 “우리 산림 생태에 맞는 숲가꾸기 기술을 정교하게 개발해 기후위기 시대에 강한 숲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 필요한 건 ‘불이 난 뒤 대응’이 아니라 ‘불이 나기 전 구조를 바꾸는’ 전략이다. 연료가 없는 산은 절대 불타지 않는다. 그것이 대형산불 시대의 유일한 정답이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