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로 인해 국지적 폭우와 예측 불가능한 극한 강우가 잦아지면서, 정부가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여름철 홍수 대응 강화 대책을 내놨다. 올해 여름부터는 사람이 직접 지켜보지 않아도, AI가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을 인식하고 위험 상황을 파악해 실시간으로 경고를 보내는 체계가 전국적으로 시범 운영된다.

환경부는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운영되는 ‘자연재난대책기간’에 맞춰 ‘2025년 여름철 홍수대책’을 발표했다. 핵심은 예측과 대응 속도를 획기적으로 끌어올리는 데 있다. AI, 디지털트윈, 강우레이더 등 최신 과학기술이 투입되며, 이를 바탕으로 다섯 가지 중점 전략이 추진된다.

가장 주목할 부분은 'AI CCTV' 도입이다. 기존에는 폐쇄회로텔레비전(CCTV)을 인력이 직접 감시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전국 국가하천 CCTV 중 1천 개소 이상에 AI 기반 감시 시스템이 시범 운영된다. 하천 주변의 사람과 차량 움직임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험 상황을 감지하면 즉시 경고를 전송해 빠른 대피를 유도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댐-하천 디지털트윈' 기술을 통해 댐 방류와 예상 강우로 인한 시나리오를 3차원 가상공간에서 시각화할 수 있게 된다. 시각 정보 기반의 직관적 판단이 가능해져, 기존 수치정보 중심의 대응보다 훨씬 신속하고 명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예보 정확도도 크게 향상된다. 인공지능 학습 자료로는 지난해 추가된 수위관측소 260개와 강우레이더 자료가 반영되며, 인공지능 홍수특보 발령 지점은 75곳에서 223곳으로 확대된다. 도시침수 예보 지역도 4개에서 6개로 늘어나며, 무심천과 온천천이 새롭게 포함된다.

국민들에게 홍수 위험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는 체계도 고도화된다. 올해부터는 기존 223곳의 홍수특보 지역뿐만 아니라, 전국 933개 수위관측소의 실시간 데이터에 따라 위기 상황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안내문자와 차량 내비게이션을 통해 경고를 발송한다. 또한 홍수 정보를 제공하는 ‘홍수알리미’ 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개편돼, 사용자 위치 기반의 맞춤형 정보가 바로 메인화면에 제공된다.

홍수취약지구에 대한 사전 대비도 한층 강화된다. 구조적 개선이 어려운 지역은 전문기관과의 합동 점검을 통해 위험도를 관리하고, 주민 대피 계획 및 제방 보강 같은 장기 대책도 함께 추진된다. 홍수위험지도는 오는 5월 15일부터 대국민에게 전면 공개돼, 다양한 행정과 예방 업무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올해는 낙동강 유역의 대형 산불로 인해 토사와 나뭇가지 등이 하천을 막을 수 있는 우려가 커진 상황이다. 이에 하천 퇴적물을 사전 제거하고, 피해 지역의 수위감시망도 강화하는 등 산불 후폭풍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됐다.

도시침수 방지 대책으로는 하수도 정비와 기반시설 확충이 이뤄진다. 하수도정비 중점지역은 기존 210곳에서 220곳 이상으로 확대되며, 빗물펌프장 설치와 하수관로 정비 사업도 병행된다. 국민 제보가 가능한 안전신문고를 통해 막힌 빗물받이 신고도 가능하며, 지자체의 대응 실태도 집중 점검된다.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에는 전국 다목적댐 20곳에서 총 68억1000만㎥의 홍수조절용량이 확보된다. 이는 법정 설계 대비 약 3배에 달하는 수치다. 2023년 월류 사고가 발생했던 괴산댐은 제한수위를 5.3m 낮춰 추가적인 조절 여력을 확보하며, 북한 황강댐의 무단 방류로 인한 위험에 대비해 임진강 군남댐의 방류조절을 통해 하류 대피시간을 최대 15시간까지 확보한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기후위기 시대, 예측과 빠른 전파는 재난을 막는 핵심”이라며 “올여름엔 사전 대비부터 현장 대응까지 전방위적 시스템을 가동해 국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