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항공기의 야간 및 악천후 상황에서도 안전한 착륙을 지원하기 위한 계기착륙장치(ILS) 교체 및 신규 설치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방위사업청(청장 석종건)은 지난 4월 30일 충주비행장에서 첫 설계검토회의를 열고, 군 공항의 계기착륙장치 교체 및 설치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해당 사업은 2031년까지 총 44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기존 장비를 국산화된 신형 장비로 교체하고, 아직 장비가 설치되지 않은 활주로에는 신규 장착을 추진한다.
계기착륙장치는 활주로에 접근하는 항공기에게 방위각, 활공각, 거리 등의 착륙 정보를 제공해 관제사의 도움 없이도 조종사가 스스로 안정적으로 착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항행안전무선시설이다. 야간이나 시계가 나쁜 상황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 장비로, 항공작전 수행 능력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번 교체 사업은 단순한 장비 갱신을 넘어, 비행안전과 구조물 안전성 개선까지 포함한 종합적인 체계 개편이다. 우선, 방위각장비의 기초대 높이는 7.5cm 이하 기준을 적용해 시야 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고, 노후화가 심각한 장비는 우선 교체 대상에 포함했다.
또한, 현재 금속재 철탑 구조인 활공각장비용 타워는 추락 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섬유강화플라스틱(FRP) 재질로 변경된다. 계기착륙장치 장비실 역시 동일한 기준 높이와 안전 재질로 개선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의 또 다른 핵심은 국산화다. 기존에 해외에서 도입해 운용 중인 장비들은 국내 기술력으로 제작된 장비로 전면 교체되며, 이에 따라 부품 수급 안정성과 군수지원 효율성도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방위사업청은 이러한 국산화 실적이 향후 방산 수출의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규헌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은 “이번 장비 교체 사업은 군 항공작전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것”이라며, “사업 추진 중에도 안전에 위해가 되는 요소들을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계기착륙장치 현대화는 단순히 장비를 바꾸는 수준을 넘어, 국방 항공 인프라 전반의 정밀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중대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