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지역 맞춤형 첨단기술을 활용해 실종아동 수색, 산책로 자율순찰, 불법촬영 방지 등 주민 체감형 치안서비스 고도화에 나선다. 과학치안 기반 자치경찰제의 본격 안착을 위해 오는 2027년까지 현장 실증을 거쳐 전국 확산을 추진할 방침이다.

경찰청은 과학치안진흥센터와 협력해 자치경찰 수요기반 연구개발 사업 2차 과제를 추가 선정하고, 서울시와 전북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술개발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선정된 과제는 ▲동국대가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와 함께 추진하는 ‘AI 기반 실종 아동 수색 및 CPTED 범죄예방 플랫폼’, ▲전주대가 전북 자치경찰위원회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자율순찰 로봇 및 영상센서 활용 안전관리 체계 구축’**이다.

이 사업은 경찰청이 지난 2022년부터 2027년까지 국비 107억 원을 투입해, 지역 경찰과 연구기관이 협력하여 지역 특화 치안 문제를 해결하는 과학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지난해에는 1차 과제로 대구 테크노파크와 제주테크노파크가 여성·어린이 귀가안심 시스템, 교통혼잡 예측 기술 등을 수행 중이다.

 

지난달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에서 자율주행 순찰로봇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저작권자(c) 연합뉴스,/ 경찰청 제공
지난달 4일 오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서울모빌리티쇼' 개막식에서 자율주행 순찰로봇이 계단을 오르고 있다.(저작권자(c) 연합뉴스,/ 경찰청 제공

 

서울 지역에서는 실종아동 조기 발견과 아동 범죄예방에 초점을 맞춘 첨단 플랫폼이 개발된다. 동국대는 AI 기반 분석 기술로 학교 주변 아동의 이상행동을 실시간 감지하고, 실종 발생 시 CCTV에 기록된 움직임의 흔적을 자동 추적해 조기 발견을 가능케 하는 알고리즘을 개발 중이다.

여기에 공간 정보와 범죄 통계를 융합해 서울 시내의 위험지역을 예측하는 범죄지도 모델도 함께 구축된다. 이는 자치경찰의 환경설계 기반 CPTED 범죄예방 사업에 직접 활용될 예정이다.

전북 지역의 경우, 자연 생태하천으로 인기 있는 전주천 산책로의 야간 치안 문제가 연구 대상이다. 전주대는 가로등 설치가 제한된 생태구간에서 시민들이 느끼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야간 적외선 감지기능과 이상행동 AI 분석기술을 탑재한 자율주행 순찰로봇을 개발·배치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공중화장실 내 불법촬영 감지시스템의 사각지대 제거 기술도 새로이 도입된다. 기존 시스템은 감지 범위가 제한돼 ‘보이지 않는 구역’이 존재했으나, 이번에는 화장실 내부 전 구역에 센서를 배치해 촬영 시도 자체를 원천 차단하는 시스템으로 보완된다.

경찰청은 “2027년까지 실증을 완료한 뒤 성과물을 현장에 배치해 첨단기술 중심의 지역맞춤형 치안혁신을 실현하겠다”며, “자치경찰위원회와 시도 경찰청, 지역 연구기관과 협업 체계를 구축해 현장 밀착형 과학치안 체제를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이치저널(each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