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한옥정책 장기 종합계획인 「서울한옥4.0 재창조계획」 발표

한옥정책 재창조 종합계획 발표... ‘한옥’개념에 한옥건축양식 디자인도 포함 ‘새로운 한옥’ 편리하고 창의적인 디자인 지원확대... ‘한옥’개념 확장, 심의기준완화 ‘일상한옥’ 서울 곳곳, 자연과 어우러진 한옥마을 조성... 10년간 10개소 이상 ‘글로벌 한옥’ K-리빙 주거문화 콘텐츠 발굴·세계화... 북·서촌에 ‘글로벌 라운지’조성

2023-02-14     정의식 기자

서울시는 한옥정책 장기 종합계획인 「서울한옥4.0 재창조계획」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본격적인 추진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 1년간 현대한옥의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거주민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창의적 디자인을 위한 규제 완화 ▴한옥 가치요소 발굴 ▴지역 특색에 맞는 경관 관리 및 신규 한옥마을 조성 ▴한옥을 비롯한 우리 주거문화 확산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수렴하고 이번 계획에 반영했다.

「서울한옥4.0 재창조」는 ‘새로운 한옥, 일상 속 한옥, 글로벌 한옥’을 통해 서울의 도시경쟁력과 매력을 높이는데 있다.

주요 실천과제 ‘새로운 한옥 : 디자인 지원 확대’, ‘일상 속 한옥 : 서울곳곳 신규 한옥마을 조성’, ‘글로벌 한옥 : 우리주거문화(K-리빙) 확산’ 등 총 3가지 방향으로 추진된다.

 

 

첫째로 창의적인 한옥 디자인을 위해 한옥의 개념을 확장하고 심의기준 완화, 인센티브 강화, 지역별 경관관리를 지원해 나간다.

기존에 ‘한옥 건축물’로 한정됐던 한옥의 개념을 현대적 재료와 기술이 적용된 ‘한옥건축양식’과 ‘한옥 디자인 건축물’까지 확장해 더 다양하고 개성 있는 한옥 조성을 지원할 계획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건축 및 수선을 지원받기 어려웠던 상업용 한옥 등 현대적인 구조․재료가 결합된 한옥도 최소기준(필수 항목)만 충족하면 ‘한옥건축양식’ 항목으로 지원받을 수 있게 된다.

편리하고 창의성이 살아있는 한옥을 자유롭게 지을 수 있도록 건축 및 심의기준을 대폭 개편하며, 기존에 73개 항목에서 제한을 두고 있는 ‘한옥건축 심의기준’ 중 44개 항목을 완화 또는 폐지한다.

이를 위해 금년 2월까지「심의기준」을 개정하고,「서울특별시 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조례」도 개정할 계획이다.

구조, 창호, 기와, 처마길이, 마당 상부 구조물, 마당 높이차 등 33개 심의기준은 완화하는 한편 가구 배치, 창틀, 대문 등 11개 항목 기준은 폐지하며, 10평 미만의 소규모 한옥 심의기준은 입면비례, 지붕 높이, 처마길이 등을 완화키로 했다.

‘한식 목구조’와 ‘기타 구조’ 결합이 가능해지며, 상업지역의 경우, 처마길이 기준도 90cm→ 60cm로 유연해진다.

기존 한옥의 공간구성 배치, 한식 창호, 목구조, 가로경관, 지붕 경관 유지 등 전통한옥 구법과 형태, 특성을 잘 살린 한옥에는 건립비용의 최대 20%까지 추가 지원하는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아울러 북촌, 서촌 등 기존 주거지와 익선동 등 상업지, 신규 조성되는 한옥마을 등은 기존의 지역적 특성과 경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외벽 및 지붕 재료, 창호 등의 기준도 완화할 계획이다.

일상 속에서 자연스럽게 한옥을 만나고 누릴 수 있도록 자치구 공모등을 통해 공원해제지역, 훼손된 개발제한구역 등을 활용하여 서울시 곳곳에 자연속 한옥마을을 조성한다.

신규 한옥마을은 현재 북촌 등 도심 한옥마을과 은평한옥 마을 이외 한옥이 부재한 지역으로 확대하되, 자치구 제안공모를 통해 대상지를 발굴하여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한옥 주거문화 매력확산과 세계화를 추진한다.

최근 K-팝(pop), K-무비(movie) 등 K-컬쳐(culture)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커지고 있어 우리 주거문화도 K-리빙(living) 콘텐츠로 주목받고 있다.

올해는 북촌과 서촌 한옥마을에 ‘공공한옥 글로벌라운지’를 조성, 외국인 방문객을 위한 플랫폼으로 한옥과 주거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운영한다.

글로벌라운지에서는 한옥과 관련된 정보 제공과 다도․도예 같은 체험 프로그램, 한옥 가구, 조명, 공예품 등 인테리어 쇼룸 전시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그 밖에 ‘한옥’ 주제 전시․박람회 참여, 기념품 개발, 공모전 개최를 비롯해 국내․외 기업, 지역 장인과의 협업을 통한 한옥 관련 상품 개발 및 산업화도 적극 지원한다.

주한 대사관, 문화원, 외국기업 등과도 협업하여 한옥 공간 대여, 오픈하우스 등을 통해 한옥과 주거문화를 접하는 기회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