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버스 시대가 도래한다!
경기연구원, ‘메타버스 우리의 일상을 바꾸다’ 발간 새로운 미래 먹거리 메타버스 산업에 적절한 대응과 지원전략 필요 경기도 공공부문의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양한 공공서비스 발굴로 질적 향상과 비용 절감 방안 모색해야
경기연구원은 지난 5월 도민 2천14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담은 ‘메타버스 우리의 일상을 바꾸다’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민 절반이 확장 가상세계인 ‘메타버스’를 인지하고 있으며, 메타버스를 통해 발전 가능성 높은 서비스로는 오락·친목과 광고·마케팅·홍보를 주로 지목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우선, 조사 대상의 50%인 도민 1천87명이 메타버스를 들어 봤다고 답했다.
메타버스란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보다 더욱 진화한 개념으로, 단순히 아바타를 활용한 게임·오락을 넘어 실제 현실과 유사한 활동을 하는 실감형 가상세계를 말한다.
연구원은 메타버스를 인지한 도민 1천87명 중 700명을 대상으로 추가 질문을 했는데, 700명의 40.3%(282명)가 메타버스 관련 서비스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버스 경험자(282명)가 주로 이용한 서비스는 ▲오락·친목 (52.5%) ▲광고·마케팅·홍보 (32.6%) ▲행사 (29.1%) ▲문화·예술 (26.2%) 등으로 나타났다.
이용 이유를 보면 ▲물리적·육체적·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어서(62.8%) ▲재미있어서(52.8%) ▲아바타를 통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어서(41.5%) 등의 순이었으며, 이용 기기는 ▲스마트폰(79.8%) ▲컴퓨터(74.5%) ▲스마트워치(23.8%) 등의 순이었다.
다시 메타버스를 인지한 700명에게 향후 메타버스를 적용할 경우 발전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를 묻자, 오락·친목(38.6%), 광고·마케팅·홍보(37.9%), 교육(36.4%), 문화·예술(34.7%) 분야를 주로 답했다.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추진하면 효과적일 메타버스 서비스로는 행정처리(62.6%), 정보 공유(63.9%), 문화·예술·공연(49.0%) 등이 꼽혔다.
이 같은 의견에 대해 연구원은 메타버스 활성화 방안으로 ▲산업 생태계 및 혁신 주체들을 플랫폼 관점에서 분석하고 각각에 대한 차별화된 정책 지원 ▲콘텐츠 제작자들의 기술적·환경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제작센터와 같은 시설 지원 ▲메타버스 공간 내에서 상호 안심하고 거래할 수 있는 경제 질서에 대한 대책 수립 등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성영조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향후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등장할 메타버스 산업을 두고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인프라 구축, 플랫폼의 독점 등에 대해 적절한 대응 및 지원전략이 필요하다”며, “경기도와 공공 부분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해 대중에게 제공할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공공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