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집근처 '동네배움터' 218곳 개소...다양한 생활밀착 프로그램 대면 전환
18개 자치구 집근처 ‘동네배움터’ 확대 운영...주민자치센터·도서관·공방 등에서 운영 올해는 디지털 시민 교육·소외계층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학습격차 해소 지원 환경을 위한 리사이클링 교육·집수리 교육 프로그램 등 1,205개 생활밀착 프로그램 제공
올해 서울시는 동 단위의 집 근처 평생학습센터 ‘동네배움터’ 218곳의 문을 연다. 지난해 2021년도 17개구 197개소에서 1개 자치구 21개소가 증가된 규모다.
서울시의 ‘동네배움터’는 어린이, 청·장년층, 어르신, 직장인, 장애인, 다문화 가족 등 시민 누구나 생활 근거리에 있는 주민자치센터 · 도서관 · 공방 등에서 쉽고 편하게 평생학습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올해는 코로나 19 극복 과정에서 디지털 전환이 확산되는 것을 감안하여, 교육 및 계층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 디지털 시민 교육을 폭넓게 제공하기로 했다.
일례로 동작구에서는 어르신·중장년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세상에서 살아남기> 프로그램이 준비된다.
또한 중구에서는 소외계층 지원을 위해 저소득 아동을 대상으로 <꿈꾸는 누리터>란 이름의 학습 지원 및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한편, 요즘 각광받고 있는 환경 친화적 프로그램도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되며, 동대문구에서는 <헌옷 줄게 새옷 다오 의류 리폼하기> 수업을 만나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노원구에서는 <재활용으로 만나는 手다방> 프로그램을 통해 쓸모없이 버려지는 물건을 재생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체험이 가능하다.
한편, 요즘 각광받고 있는 환경 친화적 프로그램도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된다. 동대문구에서는 <헌옷 줄게 새옷 다오 의류 리폼하기> 수업을 만나볼 수 있다.
또한, 노원구에서는 <재활용으로 만나는 手다방> 프로그램을 통해 쓸모없이 버려지는 물건을 재생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체험이 가능하다.
18개 자치구에 마련된 218개소 동네배움터는 ▴강북구(6개소) ▴광진구(15개소) ▴구로구(10개소) ▴노원구(13개소) ▴도봉구(15개소) ▴동대문구(14개소) ▴ 동작구(10개소) ▴서대문구(13개소) ▴성동구(17개소) ▴성북구(12개소) ▴용산구(10개소) ▴은평구(10개소) ▴종로구(10개소) ▴중랑구(16개소) ▴마포구(10개소) ▴송파구(12개소) ▴중구(20개소) ▴금천구(5개소) 다.
아울러 자치구별 상황에 맞추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컨설팅도 제공하며, 올해는 동료 컨설팅, 그룹 컨설팅 등 컨설팅 유형을 다양화하여 자치구별 상황과 요구조사 결과에 맞추어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동네배움터 운영현황 및 참여방법은 서울시평생교육진흥원 동네배움터 게시판 및 각 자치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서울시는 동네배움터를 통하여 배움과 실천 그리고 성장을 할 수 있도록 지속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 평생교육진흥원 홈페이지 주소는 (http://smile.seoul.kr)이며, 동네배움터 게시판에 자치구들의 동네배움터 소식 및 운영현황이 게재되어있다.
이와 관련해 박진용 서울시 평생교육과장은 “그간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됨으로써, 곳곳의 동네배움터에서 들려올 시민들의 웃음소리가 기대된다”며, “올해 더욱 활기 있어질 동네배움터에서 계층 간 벽을 허물고 배움에 대한 열정과 이웃 간 정을 나누는데 지속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