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환경교육도시 6곳 선정, 배움과 실천으로 도시가 변하는 새로운 녹색모델

2025-11-10     정의식 기자

2025년 대한민국의 환경교육을 이끌 6곳의 도시가 새롭게 지정됐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2025년도 환경교육도시’ 공모 결과 광역지자체 1곳인 인천광역시, 그리고 기초지자체 5곳인 도봉구·부천시·용인시·청주시·원주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2022년 제도 도입 이후 현재까지 총 19곳의 지자체가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되어 운영되는 셈이다.

‘환경교육도시’는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역의 환경교육 추진력과 성과가 우수한 지자체를 지정해 지역 중심의 기후위기 대응을 촉진하는 제도다. 단순한 교육정책이 아니라 지역사회의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생활형 녹색전환 플랫폼’으로서의 의미가 크다.

올해 공모는 6월 20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전국 15개 지자체(광역 2곳, 기초 13곳)가 참여했다. 평가 기준은 △환경교육 기반 △성과 △계획의 실행력과 지속가능성으로 구성됐다. 환경교육·행정·도시계획 전문가로 이루어진 평가위원단이 서류 및 현장평가를 실시한 뒤, 환경교육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

이번에 선정된 6곳은 모두 지역 환경교육 기반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어 있고, 탄소중립 실현 의지가 강한 지자체라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각 도시가 제시한 미래 비전은 다음과 같다.

▶인천광역시 : “환경을 잇는 배움으로, 미래를 잇는 인천” — 지역 환경교육 거점으로 성장한 3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시민 참여형 환경교육을 강화.

▶도봉구 : “탄소중립 DNA(Dobong Now Act)로 변화·성장·미래를 꿈꾸는 도시” — 주민 실천 중심의 저탄소 생활문화 확산.

▶부천시 : “환경, 시민참여, 문화가 어우러진 지속가능한 그린도시” — 생활권 단위의 체험형 교육 모델 구축.

▶용인시 : “환경교육의 르네상스를 이끄는 도시” — 학교·기업·시민단체를 잇는 민관 협력체계로 전국 확산 모범사례 평가.

▶청주시 : “시민 모두의 배움과 실천으로 도시의 큰 변화를 만드는 청주” — 지역 환경교육센터의 통합 운영으로 시민 실천력 강화.

▶원주시 : “시민의 강한 의지로 탄소중립을 실현하는 도시” — 지역순환형 에너지 교육과 실천 캠페인 활성화.

 

특히 인천·도봉·용인은 2022년 첫 환경교육도시로 지정된 이후 3년 동안 지역 자원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체계를 구축하며, 지속가능한 환경교육 모델을 정립했다는 평가를 받아 다시 재지정되었다. 이는 단순히 ‘교육 프로그램이 많다’는 차원이 아니라, 지역 단체·학교·기업이 함께 움직이는 ‘시민참여형 생태 거버넌스’를 실현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환경교육도시의 지정 기간은 2026년 1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3년간이다.
기후에너지환경부는 각 지자체가 지속적으로 성과를 내도록 전문가 컨설팅을 제공하고, 도시 간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환경교육도시 간 교류 포럼과 우수사례 공유회, 국비지원 예산 확보 추진 등을 통해 전국적 확산을 도모한다.

서영태 녹색전환정책관은 “환경교육도시는 단순한 명칭이 아니라, 지역주민이 직접 배우고 실천하면서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생활형 전환 모델”이라며 “이번 지정을 계기로 환경교육이 지역사회 변화의 동력이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번 결과는 환경교육이 중앙정부 중심의 캠페인에서 벗어나, ‘지역이 주도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실질적 녹색전환 구조’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별로 각기 다른 지역 특성을 살린 교육 콘텐츠가 전국에 확산된다면, 환경교육도시 지정은 단순한 제도적 타이틀을 넘어 지속가능한 도시전환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