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한국환경한림원, 제68차 환경리더스포럼 개최
지구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이미 1.5℃를 넘어섰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450ppm에 근접했다. 전 세계적 대응에도 불구하고 기후위기의 속도는 한층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한국환경한림원(회장 허탁)이 오는 9월 24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기후위기 시대, 새 정부 환경정책을 묻다’를 주제로 제68차 환경리더스포럼을 연다. 이번 포럼은 정부가 확정한 기후·환경·에너지 통합 관리 정책의 방향을 점검하고, 향후 발전적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발제는 환경부 손옥주 기획조정실장이 맡는다. 손 실장은 ‘탈탄소 문명 선도를 위한 기후·환경 정책 방향’을 주제로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 전략 ▲2035 이후 중장기 로드맵 ▲탄소중립 기반 경제 전환 ▲탈플라스틱 사회 실현 ▲순환경제 시스템 구축 ▲미세먼지·녹조·화학물질 대응 ▲생물다양성 회복 등 환경부의 핵심 과제를 발표한다. 그는 기후·환경·에너지의 통합체계 안에서 환경부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정부에서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토론은 서울대학교 윤제용 교수가 좌장을 맡아 진행한다. 패널로는 이상호 국민대학교 교수, 박진호 한국에너지공과대학 부총장, 정용철 충남대학교 교수, 문태훈 중앙대학교 명예교수가 참여한다.
이상호 교수는 기후위기가 단순히 환경문제에 그치지 않고, 기술·산업·안보·복지 등 다차원적 대응이 필요한 복합 과제임을 지적하며 온실가스 감축, 기후 피해 저감, 기후산업 육성, 기후복지 확대 등 통합적 접근 방안을 강조할 예정이다.
박진호 부총장은 기후위기 시대의 환경정책은 에너지·산업·안보를 포괄하는 국가 전략임을 지적하며, 국제 시장과 규범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범정부-산업-시민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강조한다. 정책의 일관성과 현실성, 혁신성과 참여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한국형 환경정책’의 핵심 경쟁력이 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할 예정이다.
정용철 교수는 순환경제 전환의 필요성을 집중 조명한다. 그는 탈플라스틱 사회를 위한 소비 감축과 대체제 개발, 고품질 재생원료 생산 확대, 과학적 데이터 기반의 물질흐름 분석, 민관 협력 체계 구축 등을 제언하며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시스템 변화가 필수적이라고 지적할 예정이다.
문태훈 명예교수는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1.5℃ 이내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을 최소 45% 줄여야 한다는 IPCC 전망을 상기시키며, 대한민국의 현실적 감축 가능성을 따져볼 예정이다. 그는 탈플라스틱 정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광고비 세제 혜택 개선 같은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지속가능 발전으로의 제도 전환을 통해 환경정책이 실질적 성과를 거둘 수 있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이번 포럼은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 전략 고도화 ▲기후·에너지 정책 연계를 통한 대응 효율성 제고 ▲순환경제 기반의 생태계 조기 안착 ▲2035년 이후 전략 수립을 통한 중장기 대응력 강화 등을 논의하며, 대한민국이 ‘탈탄소 녹색문명 선도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구체적 해법을 찾는 자리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