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이 골든타임”…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 총력
2025-09-10 이혜숙 기자
정부가 해상풍력 인허가 속도를 높이기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를 출범시켰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입지적 강점을 활용해 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을 앞당기겠다는 의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월 10일 오전 8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 킥오프 회의를 열고, 국내 해상풍력 보급 확대를 위한 본격 행보에 나섰다. 이번 회의에서는 복잡한 인허가 절차,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 문제 등 해상풍력 사업의 주요 걸림돌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정부 부처가 원팀으로 협력해 해결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해상풍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주력 전원일 뿐 아니라, 조선·철강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크다. 하지만 현재 국내에서 가동 중인 해상풍력은 0.35GW 수준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난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를 도입한 이후 총 4.1GW 규모의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2025년 3월 해상풍력특별법 공포를 통해 제도적 기반도 마련했다.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타임”이라며 “낙찰된 4.1GW 사업의 성공적인 정착 여부가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실기하지 않기 위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충, 금융 지원 등 관계부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