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부터 산업단지 근로자에 '천원의 아침밥'…17곳 산단 우선 시범
산업단지 근로자들의 아침 식탁에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오는 10월부터 전국 주요 산업단지에서 근로자들이 단돈 1000원에 따뜻한 아침밥을 먹을 수 있는 ‘천원의 아침밥’ 시범사업이 본격 가동된다. 대학생에게 한정돼 있던 저가 조식 지원이 일터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취약한 산업단지 근로자의 식사 여건을 개선하고 쌀 소비 활성화까지 동시에 노리는 정책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3일 “내년도 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추진되는 ‘산단 근로자 천원의 아침밥 파일럿 사업’ 참여 신청을 오는 17일까지 받는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전국 최대 17개 산업단지를 선정해 근로자들의 아침식사 비용을 지원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그동안 ‘천원의 아침밥’은 대학생을 대상으로만 운영됐지만, 인근 도시와 멀리 떨어져 있어 식당 접근성이 부족한 산업단지 근로자들, 자체 구내식당 운영이 힘든 중소기업 근로자들에게는 현실적으로 혜택이 닿지 않았다. 실제로 산단 내 다수의 영세기업 근로자들은 빵이나 컵라면 등으로 아침을 대체하거나 아예 끼니를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정부는 이런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자의 기본 건강권을 보장하기 위해 이번 조치를 마련했다.
시범사업은 정부가 아침식사 단가 중 2000원을 직접 지원하고, 근로자가 실제 부담하는 금액은 1000원으로 낮추는 구조다. 나머지 비용은 지방자치단체와 기업이 함께 분담한다. 근로자 부담을 최소화하면서도 공동 책임을 통해 지속 가능한 운영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지원 대상 선정에서는 영세한 중소기업이 우선 고려된다. 또한 개별 기업보다는 입주기업 협의체가 운영하는 공동식당을 중심으로 지원을 집중해 더 많은 근로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기존에 아침 조식을 제공하지 않았던 기업들은 평가 과정에서 우대를 받는다. 이는 ‘아침밥 문화’가 산단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정책적 장치다.
운영 방식은 각 산업단지의 여건에 맞춰 다양하게 적용된다. 구내식당뿐 아니라 주문배달, 케이터링 같은 방식도 허용해 현실적 제약을 줄이고 근로자 편의를 최우선으로 반영한다. 정부는 이번 시범사업을 계기로 산단 근로자들의 식생활 수준을 끌어올리고, 국산 쌀 소비를 촉진해 농업과 산업 현장의 상생을 도모한다는 복안이다.
선정된 산업단지와 기업은 올해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간 시범사업을 운영한다. 농식품부는 성과를 면밀히 평가한 뒤, 내년 이후 본격적인 확대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신청을 원하는 입주기업 협의체나 기업은 정해진 서식을 작성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에 전자우편으로 접수하면 된다.
정부 관계자는 “산업단지 근로자들이 든든한 한 끼로 하루를 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이번 사업의 핵심”이라며 “정책의 취지가 제대로 안착하면 산업현장 근로자의 건강 증진은 물론, 국산 쌀 소비 확대에도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