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 응진전, 보물 지정 예고…사라진 중심 불전의 맥 잇다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조선시대 사찰 운영과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 대웅전 등 중심 전각이 잇따른 화재로 손실된 이후 사실상 광흥사의 중심 불전 기능을 이어온 응진전은 역사적·건축사적·미술사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확인된 사례로 평가된다.
광흥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전기 안동 일대에서 불경 간행이 활발했던 유서 깊은 사찰이다. 응진전의 정확한 창건연대는 전하지 않지만 지붕 마루 끝 기와(망와)에 남겨진 명문을 통해 1647년(인조 25)에 기와 공사가 진행된 기록이 있어, 적어도 조선 중기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1827년과 1946년의 대형 화재로 대웅전 등 주요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화를 면했고 그 결과 광흥사의 중심 불전 역할을 이어받는 드문 역사적 경로를 갖게 됐다.
건축적 형식은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에 겹처마를 가진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정면은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계(多包系)로 화려하게 조성되어 시각적 중량감과 권위를 드러내고,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둔 단순한 구성으로 정면을 강조한다. 기둥 사이 수평부재 위에 설치된 화반에는 꽃무늬가 채색되어 있으며, 정면과 측후면의 공포·화반 배치 차이는 응진전이 갖는 설계 의도와 조형적 강조를 분명히 보여준다. (참고: 망와는 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 공포는 기둥머리에 지붕 무게를 받치는 목구조, 화반은 공포 상부의 넓은 판재이다.)
특히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의 건축 양식을 계승하면서도 중기·후기로 이어지는 불전 건축 양식의 변화를 시간축상에서 잘 드러내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연속성과 변화의 흔적은 지역별·시기별 불전 건축 연구에 있어 중요한 비교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내부 장엄과 구조적 세부에서 드러나는 공포의 축조 방식, 결구(接合) 방식, 화반의 채색 기법 등은 향후 보존처리와 학술조사에서 세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응진전에 봉안된 불상군도 주목할 만하다. 국가유형문화재로 분류된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은 16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수준 높은 조형성을 지닌 작품군이다. 총 42구에 달하는 대규모 소조 불상군은 일반적 사례보다 수가 많고 배치 방식이 특이해 불교 조형 및 의례·신앙 관행을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작품들의 제작기법, 채색층, 목재·재료 분석을 통한 연대 규명과 보존 상태 진단은 향후 학술적 연구의 핵심 과제로 보인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지정 예고 후 30일간의 의견수렴 절차를 진행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 지정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 보물로 지정될 경우 법적 보호 근거가 강화되고, 체계적인 보존·복원 사업과 학술조사가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목재 연대측정·도료 분석·구조보강 검토·전수조사 및 도면화·고해상도 3D 스캐닝 기록화·상세 사진기록과 같은 보존·연구 조치가 권장된다. 또한 보물 지정은 지역 문화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부각시키므로, 접근성 개선과 해설 체계 구축, 전시·교육 프로그램 연계 방안도 병행 검토돼야 한다.
응진전은 한 건물이자 한 사찰의 ‘역사적 전승’이다. 소실된 중심 전각의 공백을 메운 채 수백 년을 견디며 남아온 이 목조 건축은 조선 시대 사찰의 공간 구성과 신앙 생활을 현재로 이어주는 물리적 증거다. 이번 보물 지정 예고는 응진전의 보존과 더불어 지역 문화유산의 재발견, 학술적 재평가, 그리고 대중적 인식 제고를 촉발할 기회가 될 것이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역사·문화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을 계속해서 조사·발굴하고 체계적으로 보호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