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9월이 미술로 물든다 ―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 개막

2025-09-01     이치저널(each journal)

대한민국의 9월은 예술로 물든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전국 각지에서 ‘2025 대한민국 미술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리는 이번 축제는 국내 미술의 오늘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세계 미술계와 만나는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됐다. 서울을 비롯해 청주, 광주, 전남, 부산 등지에서 7개 비엔날레와 3개 미술 박람회(아트페어)가 함께 열리며, 한국 미술을 세계 무대에 본격적으로 올려놓는다는 계획이다.

올해 행사는 특히 협업과 연계에 중점을 두었다.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청주공예비엔날레, 바다미술제, 대구사진비엔날레,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전남국제수묵비엔날레, 세계서예전북비엔날레 등 7개 비엔날레와 함께,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키아프 서울’과 ‘프리즈 서울’, 그리고 젊은 작가들의 무대인 ‘아시아프’가 참여해 풍성한 미술의 장을 연출한다. 세계적인 아트페어와 지역 비엔날레가 같은 시기에 펼쳐지는 만큼, 관람객은 한 달 동안 다양한 장르와 세대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게 된다.

관람의 문턱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혜택도 준비됐다. 정부는 ‘대한민국 미술축제’를 기념해 주요 전시 입장권을 최대 50%까지 할인해 판매했으며, 일부 티켓은 예매 시작 직후 빠르게 매진됐다. 매진 이후에도 인터파크, 멜론티켓, 티켓링크 등 예매처를 통해 전시 할인권을 이용하면 할인된 가격에 입장권을 구할 수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철도 승차권과 비엔날레 입장권을 결합한 관광상품을 출시해 여행과 전시 관람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철도관광상품을 구매하면 비엔날레 티켓 할인은 물론 시간대별로 승차권 할인도 제공돼 미술을 향유하는 방법을 한층 다양화했다.

전시 관람과 더불어 미술과 여행을 접목한 프로그램도 눈길을 끈다. 전문 해설사와 함께 지역 미술관과 관광 명소를 탐방하는 ‘미술여행’ 프로그램은 전국 5개 권역에서 진행되며, 작가와의 대화, 작업실 방문, 체험 행사까지 더해져 참여자들이 오감으로 예술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외국인과 사회 취약계층을 위한 특화 코스를 마련해 누구나 미술의 즐거움에 동참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새롭게 마련된 ‘놓치지 말아야 할 전시’ 코너도 주목된다. 국내 주요 미술 잡지의 편집장과 기자들이 직접 추천하는 전시를 통해, 대중이 한국 미술의 흐름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서울과 각 지역에서는 신진작가 기획전도 동시다발적으로 열리며, 한국 미술의 차세대를 이끌 젊은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가까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북촌 휘겸재, 포레페스타, 오프사이트2 등 서울의 신진작가 전시와도 연계해, 미술축제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새로운 작가를 발굴하는 장이 된다.

대한민국 미술을 세계에 널리 알리기 위한 국제 교류 프로그램도 강화됐다. ‘다이브 인투 코리안 아트: 서울’은 해외 미술 관계자를 국내 작가의 작업실로 초청해 한국 미술을 직접 체험하고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천과 김포, 김해 등 국제공항에서도 미디어아트와 조각 등 다양한 한국 미술 작품을 전시해 방한 관광객에게 한국 미술을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아우르는 다양한 홍보를 통해 미술축제의 분위기를 확산시키고 있다. SNS와 홈페이지뿐만 아니라 지자체 전광판, 가로등 현수기, 공항과 역사(驛舍) 공간까지 활용해 정보를 전달하며, 해외에서는 재외한국문화원과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 등을 통해 외국인에게 축제를 알리고 있다. 국내 대표 미술잡지뿐 아니라 KTX 매거진에도 축제를 소개해 일상 속에서 예술을 만날 수 있는 통로를 넓혔다.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대한민국 미술축제는 단순한 전시의 장을 넘어 우리 미술이 국민과 함께 호흡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힘찬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국민에게는 더 좋은 작품을 만나는 계기를, 작가에게는 세계 무대에서 창작과 발표를 이어갈 기회를 제공해 한국 미술 생태계의 기반을 튼튼히 다져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