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4곳에 청년·고령자 맞춤형 '특화주택' 1786가구 공급
1786가구.
올해 하반기 대한민국 주거 지도를 바꿀 숫자다.
국토교통부가 전국 14곳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맞춤형 특화주택’ 공급 계획이 그 시작을 알렸다. 청년, 고령자, 신혼부부, 직주근접이 필요한 근로자까지, 각 집단의 삶의 결을 반영한 설계가 전국 방방곡곡에서 현실이 된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주택 공급이 아니다. 고령자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그리고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이 한데 모여 ‘주거복지 플랫폼’을 만드는 시도다. 특히 작년 하반기 도입된 ‘지역제안형’ 모델은 지자체가 입주 조건부터 운영 방식까지 자율 설계가 가능해, 지역 문제 해결의 열쇠로 부상했다. 이번 공모에서도 무려 1083가구가 이 유형으로 선정됐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부천 대장 3기 신도시에는 741가구 규모의 세대 혼합형 주택이 들어서며,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가 한 단지에서 돌봄과 생활을 공유한다. 동두천 지행역 인근에는 청년과 신혼부부 210가구를 위한 생활·교통 최적 입지가 확보됐다. 강원 삼척시에는 탄광 근로자와 대학생이 함께 생활하며 멘토링과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나누는 100가구 규모의 주택이, 포천에는 청년 군무원을 위한 32가구 소형 단지가 조성된다.
고령자복지주택 부문은 울산 214가구, 부천 100가구, 제주 54가구가 예정돼 있다. 안전손잡이, 미끄럼 방지, 의료 연계 공간까지 완비된 이 주택은 ‘돌봄과 생활의 동거’라는 주거복지의 완성형을 보여준다.
청년특화주택은 전북 고창군(40가구), 부안군(100가구), 울산(36가구)에서 공급된다. 청년층이 선호하는 공유주방, 계절창고, 휴게공간이 기본 탑재되고, 울산대 인근 단지는 학생 친화형 설계로 주거와 학업을 동시에 지원한다. 인구 감소로 위기에 놓인 고창·부안군은 이 주택을 청년 유입의 돌파구로 삼는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광명(123가구)과 울산 온산(36가구)에서 추진된다. 광명은 내년 준공 예정인 광명시흥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직주근접형 설계로, 울산 온산은 국가산단 근로자의 주거와 여가를 동시에 해결하는 복합형 단지다.
국토부는 이번에 선정된 사업이 단순한 건물 공급이 아니라, 인구 구조 변화와 지역 소멸 위기를 동시에 돌파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주거와 복지가 결합하고, 일자리와 생활이 맞물린 이 특화주택 모델은 앞으로 다른 지자체로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정책담당자는 “건설계획 승인, 설명회, 컨설팅까지 전방위 지원으로 이번 사업이 지역 주거정책의 모범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제 남은 건, 집이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 지역과 세대, 산업을 연결하는 ‘미래 거점’이 될 수 있느냐는 실증이다. 전국 14곳, 1786가구의 문이 곧 열린다. 그 집 안에서 새로운 대한민국의 삶의 방식이 태어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