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푼다, 공연 1만 원, 전시 3천 원 할인
문화의 날 하루가 아닌, 일상 속에서 예술을 더 가까이 누릴 기회가 열린다. 정부가 민생 회복과 국민 문화 향유 확대를 위해 8월 8일부터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을 전국에 대규모 배포한다. 1인당 최대 10장의 할인권을 온라인 예매처에서 무료로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는 이번 사업은 2025년 제2차 추가경정예산 100억 원으로 추진되는 대표 문화정책 중 하나다.
공연 할인권은 장당 1만 원, 전시 할인권은 3천 원이 적용되며, 인터파크, 멜론티켓, 타임티켓, 티켓링크, 예스24 등 5개 온라인 예매처를 통해 선착순으로 발급된다. 발급은 8월 8일 오전 10시부터 9월 19일까지 가능하며, 발급 수량이 소진될 경우 조기 마감된다. 발급된 할인권은 11월 30일까지 예정된 공연 또는 전시에 사용할 수 있다.
할인권은 예매처별로 1인당 공연 2매, 전시 2매씩 총 4매까지 기본 발급되며, 예매처를 달리할 경우 중복 수령이 가능해 공연 10매, 전시 10매까지 확보할 수 있다. 특히 타임티켓에서는 수도권 외 지역에서 열리는 행사에 한해 1인당 각 2매의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도 별도 제공, 지역 문화 소비 진작에도 힘을 싣는다.
공연 할인권은 연극, 뮤지컬, 클래식, 국악, 무용 등 예술 중심 장르에 한해 사용되며, 대중음악이나 댄스 공연은 제외된다. 전시는 시각예술 분야의 전시, 미술관, 아트페어, 비엔날레에 적용되며 산업박람회 등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가격이 할인권 금액보다 낮은 저가 티켓도 총 결제금액이 공연은 1만 5천 원, 전시는 5천 원 이상일 경우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8천 원짜리 공연 티켓 두 장을 구매하면 총 1만 6천 원이 되어 1만 원 할인권을 사용할 수 있고, 3천 원짜리 전시 티켓 두 장으로 6천 원이 될 경우에도 3천 원 할인 적용이 가능하다. 다만 한 번의 결제에서 한 장의 할인권만 사용할 수 있다.
할인권은 온라인 예매 전용으로, 현장 발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단 국공립 공연장에서는 현장 직원 안내를 통해 온라인 예매를 유도하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노년층, 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 계층을 위한 유선 지원 창구도 개설되어 있으며, 일부 전화 예매가 가능한 예매처를 통해 비접속 사용자도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장애예술인을 위한 공연장 ‘모두예술극장’에는 1만 장의 할인권이 별도 배정된다. 이곳은 장애인 관람 편의시설이 완비된 국내 최초의 장애예술 공연장으로, 예매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할인권 사용의 문턱을 낮췄다.
할인권은 공연·전시별로 별도로 발급되며, 예매 후 취소할 경우 할인권은 자동 복구된다. 단, 예매처마다 환불 규정이 다르므로 각 사이트의 정책을 확인해야 한다. 외국인도 예매처 회원 가입이 가능할 경우 할인권 사용이 가능하며, 미성년자 역시 본인 명의로 가입 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번 할인권 배포로 일상 속 문화 향유 기반이 확대되고, 침체된 공연‧전시 소비 시장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할인권을 모두 소진하지 못할 경우, 10월 중 미사용 물량을 추가로 배포할 계획이다.
예매 및 발급은 각 예매처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가능하며, 상세한 사용 방법 및 예매처별 문의는 아래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놀 인터파크: 1544/1555 / 멜론티켓: 1899-0042 / 타임티켓: 1599-3089 /티켓링크: 1588-7890 / YES24: 1544-63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