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네이버·토스에서도 모바일신분증 발급, 앱으로 지갑 없이 OK
지금부터 지갑 없이도 본인 인증이 가능한 시대가 열린다.
카카오뱅크, 네이버, 토스, 국민은행, 농협은행 등 국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앱에서 법적 효력을 지닌 모바일 신분증 발급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직접 운영하던 신분증 시스템이 민간 플랫폼으로 확장되며, 신원 인증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
7월 23일부터 정식 시행된 이 서비스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외국인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등 실물 신분증과 동일한 법적 효력을 가지며, 오프라인 식별은 물론이고 온라인 비대면 본인확인 수단으로도 공식 인정된다. 이제 술집 입장이나 금융거래, 공공업무 모두 **스마트폰 하나로 해결 가능한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셈이다.
삼성 스마트폰(One UI 6.1 이상)은 모든 앱에서 발급이 가능하며, iOS 이용자는 당분간 토스, 카카오뱅크, 정부의 공식 앱에서만 이용할 수 있다.
이용 방식은 간단하지만, 기술은 매우 정교하다. 모바일 신분증은 단말기 보안영역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며, 중앙 서버에는 정보가 따로 저장되지 않는다. 때문에 데이터센터 해킹이나 단말기 도난 등에도 실질적 유출 위험이 낮다.
지문, 안면인식, 6자리 앱 비밀번호 등 생체 인증 절차 없이는 사용할 수 없어 실물 신분증보다 오히려 안전한 시스템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민간 사업자 공모와 적합성 평가를 진행해 이번 개방을 준비해 왔다. 특히 삼성전자와의 기술협약을 통해 하드웨어 보안 영역에 신분증을 저장하도록 한 ‘삼성월렛’ 기반은 고도의 보안성을 갖춘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개방으로 국민은 익숙한 앱에서 빠르게 신분증을 발급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되었고, 사업자들은 고객 인증 기반의 혁신 서비스를 추가로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했다. 행정안전부는 이를 AI시대의 필수 디지털 신원 체계의 출발점으로 보고 있다.
670만 명이 이미 모바일 신분증을 발급받았으며, 금융권에서는 보이스피싱 등 신분 도용 방지 효과가 기대된다. 앞으로는 온라인 금융서비스, AI 기반 공공 서비스, 디지털 헬스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뢰 가능한 본인 확인 인프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정부는 향후에도 민간 앱 확대 지원, 신뢰도 검증 강화, 인증 연동 범위 확장을 추진하며 국민의 디지털 안전과 편익을 동시에 확보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