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눌렀다가… 본인도 모르게 유료서비스 가입?
최근 온라인에서 '민생회복지원금'을 검색했다가 엉뚱한 유료서비스에 가입되는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정부 지원금을 신청한다는 착각을 유도하는 광고 방식이 성행하면서, 휴대전화 번호와 인증번호까지 입력한 뒤 뒤늦게 가입 사실을 알게 되는 사례가 속출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민생회복지원금 신청’ 또는 ‘전 국민 민생회복지원금 안내’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면 블로그 게시물이 상단에 노출되고, 이 글에 포함된 ‘지금 신청하기’, ‘바로 안내받기’ 등의 버튼을 누를 경우 전혀 무관한 유료 부가서비스 가입으로 연결된다고 밝혔다.
문제는 이들 사이트가 정부 공식 페이지와 유사한 형식을 띠고 있어 이용자들이 쉽게 속는다는 점이다. 특히 가입 페이지에서는 안심보호, 가족 위치조회 등 ‘여가생활 보호 서비스’나 ‘통신 안전 서비스’라는 명목의 유료상품을 제공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전화 번호와 인증번호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가입 절차가 완료된다.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민생회복지원금 신청을 위한 본인확인’이라고 오해하고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요금이 청구되는 별도의 유료서비스라는 사실은 눈에 잘 띄지 않는 작은 글씨로 표기돼 있을 뿐이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 같은 광고 행위가 전기통신사업법 시행령에서 금지하는 행위에 해당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보고, 해당 광고 게시 업체에 즉각적인 광고 중단을 요구했다. 만약 동일한 행위가 지속될 경우, 방통위는 사실조사에 착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방통위 관계자는 “정부지원금 관련 정보는 반드시 정부 공식 홈페이지나 지자체 누리집을 통해 확인해야 하며, 휴대전화 본인인증이 필요한 경우에도 서비스 성격과 요금 유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