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기 전 점검하라" 실외기·선풍기 화재 급증 경고
한여름을 앞두고 에어컨과 선풍기 사용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전기냉방기기에서 시작된 화재가 지난 5년간 꾸준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컨 화재는 무려 1.8배, 선풍기는 1.4배 증가했으며, 대부분 전기적 결함에서 비롯된 사고였다. 전 국민의 98%가 에어컨을 사용하는 현실에서 이 수치는 단순한 통계를 넘어 경고음에 가깝다.
행정안전부와 국가화재정보센터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여름철 냉방기기 화재는 6월부터 급증해 8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다. 한창 무더위가 기승을 부릴 때 전력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화재 위험도 따라오른 셈이다. 특히 에어컨 화재의 79%, 선풍기 화재의 66%는 전기접촉 불량과 같은 전기적 요인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모터 과열 등 기계적 요인, 부주의한 사용이나 설치가 뒤를 이었다.
에어컨의 경우, 전력 소모가 많아 고용량 콘센트 사용이 권장된다. 외부에 설치된 실외기는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먼지와 습기에 취약하기 때문에 사용 전 먼지를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한다. 실외기 팬 날개가 손상됐거나 이상한 소음이 들릴 경우에는 즉시 전문가의 점검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검을 게을리할 경우, 고온의 기계가 화염으로 바뀌는 데는 단 몇 초도 걸리지 않는다.
선풍기도 마찬가지다. 전선이 꺾이거나 눌리는 경우 내부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고, 전원선을 당겨 사용하는 습관도 위험 요인이다. 오래 보관한 선풍기를 다시 사용할 땐 내부의 먼지를 꼼꼼히 제거해야 하며, 작동 중인 선풍기 위에 옷이나 수건을 걸쳐 놓는 행동은 절대 금물이다. 특히 ‘문어발’ 형태로 여러 기기를 한 콘센트에 꽂는 방식은 화재를 부르는 지름길이다.
기기 자체의 과열 외에도 환기 부족도 또 다른 위험 요소다. 밀폐된 공간에서 냉방기기를 장시간 작동시키면 열이 축적돼 사고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창문을 열어 주기적으로 환기하고 시간 설정 기능을 활용해 기기의 온도를 낮추는 습관이 중요하다.
행안부는 이번 여름에도 반복될 수 있는 냉방기기 화재를 막기 위해 생활 속 안전수칙을 적극 준수해 줄 것을 강조했다. 폭염이 피할 수 없는 계절이라면, 화재는 충분히 피할 수 있는 사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