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은 블루로드, 청송은 달기약수…특화사업으로 다시 살아난다
산불이 삼킨 삶의 터전이 특별재생이라는 이름으로 다시 숨을 쉰다. 정부는 대규모 재난으로 피폐해진 경북 영덕군과 청송군을 도시재생의 대상으로 지정하고, 신속한 회복과 지역 활력 회복에 나선다. 단순한 복구를 넘어, 공동체 재건과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꾀하는 ‘재난 극복형 도시재생’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국토교통부는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2025년 3월 대형 산불로 큰 피해를 입은 영덕군과 청송군을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했다. 해당 제도는 지난 2017년 포항 지진을 계기로 마련된 것으로, 대규모 재난지역에 대해 정부가 도시재생사업을 직접 추진할 수 있도록 한 제도다. 이로써 두 지역은 포항시 흥해읍에 이어 전국 세 번째 특별재생지역이 됐다.
이번 지정으로 두 지역에는 우선 2025년도 추경 예산 80억 원이 투입된다. 영덕군과 청송군에 각 40억 원씩 배정된 이 예산은 특별재생계획(안) 수립과 함께 장마철을 앞둔 긴급 복구 공사에도 사용된다. 토사 유출이나 산사태 등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선제 대응이 가능해졌다.
특히 영덕군은 ‘해양 관광자원과 연계한 경제 활력 회복’을, 청송군은 ‘달기약수터 중심의 에코힐링 관광’ 육성을 특화사업으로 설정했다. 단순 복원에 그치지 않고, 지역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전략이다.
영덕군의 재생계획은 주거 안정을 위한 기반시설 정비와 함께, 주민 심리회복을 위한 트라우마센터 설치, 마을공동체 공간 조성 등이 포함된다. 또한, 블루로드길 복원과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 등을 통해 관광 기반의 경제 활성화도 꾀한다.
청송군은 달기약수터를 중심으로 생태관광 인프라를 조성하고, 에코힐링로드와 약수 테마파크 등을 통해 관광객 유입을 유도할 계획이다. 피해주택 정비와 도로·상하수도 정비 등 기본적 복구 외에도, 방화림 조성 및 스마트 방재 시스템 도입 등 재난 대응 체계까지 포함된 것이 특징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인프라 재건을 넘어, 삶의 질 회복과 공동체 재건에 초점을 맞춘다. 국토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특별재생계획을 구체화하고, 후속 국비 지원과 공공사업 집행을 연계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피해 복구를 넘어 새로운 마을로의 도약을 위한 시작점”이라며 “지역 주민들의 삶이 온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